관리 Wmic.exe 사용방법
2010.12.14 08:44
윈도우 xp이상 버전에서는 wmic.exe 내장되어
wmi정보를 커맨드라인에서 불러올수 있습니다.
Wmic에서는 특정 클래스명을 모르더라도 이미 지정된 별칭을 통해서 쿼리가 가능합니다. 앞서 예제도 별칭을 통해서 쿼리 한것입니다.
ALIAS - 로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별칭 액세스
BASEBOARD - 기본 보드(마더 보드 또는 시스템 보드) 관리
BIOS - 기본 입출력 서비스(BIOS) 관리
BOOTCONFIG - 부트 구성 관리
CDROM - CD-ROM 관리
COMPUTERSYSTEM - 컴퓨터 시스템 관리
CPU - CPU 관리
CSPRODUCT - SMBIOS의 컴퓨터 시스템 제품 정보
DATAFILE - DataFile 관리
DCOMAPP - DCOM 응용 프로그램 관리
DESKTOP - 사용자 데스크톱 관리
DESKTOPMONITOR - 데스크톱 모니터 관리
DEVICEMEMORYADDRESS - 장치 메모리 주소 관리
DISKDRIVE - 실제 디스크 드라이브 관리
DISKQUOTA - NTFS 볼륨의 디스크 공간 사용
DMACHANNEL -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 채널 관리
ENVIRONMENT - 시스템 환경 설정 관리
FSDIR -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항목 관리
GROUP - 그룹 계정 관리
IDECONTROLLER - IDE 컨트롤러 관리
IRQ - 인터럽트 요청(IRQ) 관리
JOB - 일정 서비스를 사용하여 예약된 작업 액세스
LOADORDER - 실행 종속성을 정의하는 시스템 서비스 관리
LOGICALDISK - 로컬 저장 장치 관리
LOGON - LOGON 세션
MEMCACHE - 캐시 메모리 관리
MEMLOGICAL - 시스템 메모리 관리(구성 레이아웃 및 사용 가능한 메모리)
MEMORYCHIP - 메모리 칩 정보.
MEMPHYSICAL - 컴퓨터 시스템의 실제 메모리 관리
NETCLIENT -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관리
NETLOGIN - (특정 사용자의) 네트워크 로그인 정보 관리
NETPROTOCOL - 프로토콜(및 네트워크 특성) 관리
NETUSE - 활성 네트워크 연결 관리
NIC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관리
NICCONFIG - 네트워크 어댑터 관리
NTDOMAIN - NT 도메인 관리
NTEVENT - NT 이벤트 로그의 항목
NTEVENTLOG - NT 이벤트 로그 파일 관리
ONBOARDDEVICE - 마더 보드(시스템 보드)에 내장된 일반 어댑터 장치 관리
OS - 설치된 운영 체제 관리
PAGEFILE - 가상 메모리 파일 스와핑 관리
PAGEFILESET - 페이지 파일 설정 관리
PARTITION - 실제 디스크의 파티션된 영역 관리
PORT - I/O 포트 관리
PORTCONNECTOR - 실제 연결 포트 관리
PRINTER - 프린터 장치 관리
PRINTERCONFIG - 프린터 장치 구성 관리
PRINTJOB - 인쇄 작업 관리
PROCESS - 프로세스 관리
PRODUCT - 설치 패키지 작업 관리
QFE - QFE(Quick Fix Engineering)
QUOTASETTING - 볼륨의 디스크 할당량 정보 설정
RDACCOUNT -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사용 권한 관리.
RDNIC -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에서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 관리.
RDPERMISSIONS - 특정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사용 권한.
RDTOGGLE - 원격으로 원격 데스크톱 수신 대기자 켜기 또는 끄기.
RECOVEROS - 운영 체제에 오류가 있을 때 메모리에서 수집할 정보
REGISTRY - 컴퓨터 시스템 레지스트리 관리
SCSICONTROLLER - SCSI 컨트롤러 관리
SERVER - 서버 정보 관리
SERVICE -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관리
SHADOWCOPY - 섀도 복사본 관리.
SHADOWSTORAGE - 섀도 복사본 저장소 영역 관리.
SHARE - 공유 리소스 관리
SOFTWAREELEMENT - 시스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제품 요소 관리
SOFTWAREFEATURE - SoftwareElement의 소프트웨어 제품 하위 집합 관리
SOUNDDEV - 사운드 장치 관리
STARTUP - 사용자가 컴퓨터에 로그온할 때 자동으로 실행할 명령 관리
SYSACCOUNT - 시스템 계정 관리
SYSDRIVER - 기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드라이버 관리
SYSTEMENCLOSURE - 실제 시스템 엔클로저 관리
SYSTEMSLOT - 포트, 슬롯, 주변 기기 및 기타 연결점의 실제 연결점 관리
TAPEDRIVE - 테이프 드라이브 관리
TEMPERATURE - 온도 센서(전자식 온도계)의 데이터 관리
TIMEZONE - 표준 시간대 데이터 관리
UPS - UPS 관리
USERACCOUNT - 사용자 계정 관리
VOLTAGE - 전압 센서(전자식 전압계) 데이터 관리
VOLUME - 로컬 저장소 볼륨 관리.
VOLUMEQUOTASETTING - 디스크 할당량 설정을 특정 디스크 볼륨과 연결
VOLUMEUSERQUOTA - 사용자 당 저장소 볼륨 할당량 관리.
WMISET - WMI 서비스 작업 매개 변수 관리
BASEBOARD - 기본 보드(마더 보드 또는 시스템 보드) 관리
BIOS - 기본 입출력 서비스(BIOS) 관리
BOOTCONFIG - 부트 구성 관리
CDROM - CD-ROM 관리
COMPUTERSYSTEM - 컴퓨터 시스템 관리
CPU - CPU 관리
CSPRODUCT - SMBIOS의 컴퓨터 시스템 제품 정보
DATAFILE - DataFile 관리
DCOMAPP - DCOM 응용 프로그램 관리
DESKTOP - 사용자 데스크톱 관리
DESKTOPMONITOR - 데스크톱 모니터 관리
DEVICEMEMORYADDRESS - 장치 메모리 주소 관리
DISKDRIVE - 실제 디스크 드라이브 관리
DISKQUOTA - NTFS 볼륨의 디스크 공간 사용
DMACHANNEL -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 채널 관리
ENVIRONMENT - 시스템 환경 설정 관리
FSDIR -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항목 관리
GROUP - 그룹 계정 관리
IDECONTROLLER - IDE 컨트롤러 관리
IRQ - 인터럽트 요청(IRQ) 관리
JOB - 일정 서비스를 사용하여 예약된 작업 액세스
LOADORDER - 실행 종속성을 정의하는 시스템 서비스 관리
LOGICALDISK - 로컬 저장 장치 관리
LOGON - LOGON 세션
MEMCACHE - 캐시 메모리 관리
MEMLOGICAL - 시스템 메모리 관리(구성 레이아웃 및 사용 가능한 메모리)
MEMORYCHIP - 메모리 칩 정보.
MEMPHYSICAL - 컴퓨터 시스템의 실제 메모리 관리
NETCLIENT -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관리
NETLOGIN - (특정 사용자의) 네트워크 로그인 정보 관리
NETPROTOCOL - 프로토콜(및 네트워크 특성) 관리
NETUSE - 활성 네트워크 연결 관리
NIC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 관리
NICCONFIG - 네트워크 어댑터 관리
NTDOMAIN - NT 도메인 관리
NTEVENT - NT 이벤트 로그의 항목
NTEVENTLOG - NT 이벤트 로그 파일 관리
ONBOARDDEVICE - 마더 보드(시스템 보드)에 내장된 일반 어댑터 장치 관리
OS - 설치된 운영 체제 관리
PAGEFILE - 가상 메모리 파일 스와핑 관리
PAGEFILESET - 페이지 파일 설정 관리
PARTITION - 실제 디스크의 파티션된 영역 관리
PORT - I/O 포트 관리
PORTCONNECTOR - 실제 연결 포트 관리
PRINTER - 프린터 장치 관리
PRINTERCONFIG - 프린터 장치 구성 관리
PRINTJOB - 인쇄 작업 관리
PROCESS - 프로세스 관리
PRODUCT - 설치 패키지 작업 관리
QFE - QFE(Quick Fix Engineering)
QUOTASETTING - 볼륨의 디스크 할당량 정보 설정
RDACCOUNT -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사용 권한 관리.
RDNIC -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에서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 관리.
RDPERMISSIONS - 특정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사용 권한.
RDTOGGLE - 원격으로 원격 데스크톱 수신 대기자 켜기 또는 끄기.
RECOVEROS - 운영 체제에 오류가 있을 때 메모리에서 수집할 정보
REGISTRY - 컴퓨터 시스템 레지스트리 관리
SCSICONTROLLER - SCSI 컨트롤러 관리
SERVER - 서버 정보 관리
SERVICE -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관리
SHADOWCOPY - 섀도 복사본 관리.
SHADOWSTORAGE - 섀도 복사본 저장소 영역 관리.
SHARE - 공유 리소스 관리
SOFTWAREELEMENT - 시스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제품 요소 관리
SOFTWAREFEATURE - SoftwareElement의 소프트웨어 제품 하위 집합 관리
SOUNDDEV - 사운드 장치 관리
STARTUP - 사용자가 컴퓨터에 로그온할 때 자동으로 실행할 명령 관리
SYSACCOUNT - 시스템 계정 관리
SYSDRIVER - 기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드라이버 관리
SYSTEMENCLOSURE - 실제 시스템 엔클로저 관리
SYSTEMSLOT - 포트, 슬롯, 주변 기기 및 기타 연결점의 실제 연결점 관리
TAPEDRIVE - 테이프 드라이브 관리
TEMPERATURE - 온도 센서(전자식 온도계)의 데이터 관리
TIMEZONE - 표준 시간대 데이터 관리
UPS - UPS 관리
USERACCOUNT - 사용자 계정 관리
VOLTAGE - 전압 센서(전자식 전압계) 데이터 관리
VOLUME - 로컬 저장소 볼륨 관리.
VOLUMEQUOTASETTING - 디스크 할당량 설정을 특정 디스크 볼륨과 연결
VOLUMEUSERQUOTA - 사용자 당 저장소 볼륨 할당량 관리.
WMISET - WMI 서비스 작업 매개 변수 관리
다음과 같이, 클래스명을 통해서 직접 쿼리가 가능합니다., 별칭에 없는 것은 클래스를 통하거나 별칭을 등록해서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겠죠..
wmic:root\cli>path win32_processor get Caption,Description,Name
Caption Description Name
x86 Family 6 Model 9 Stepping 5 x86 Family 6 Model 9 Stepping 5 Intel(R) Pentium(R) M processor 1400MHz
Caption Description Name
x86 Family 6 Model 9 Stepping 5 x86 Family 6 Model 9 Stepping 5 Intel(R) Pentium(R) M processor 1400MHz
이러한 기능외에, WMI는 쿼리 명령어를 지원합니다. 이를 테면 특정 쿼리를 통해서 WMI값을 업데이트하면 시스템에 적용이 됩니다. 컴퓨터를 리부팅/종료 까지 할수 있습니다.
다음 처럼 시스템 종료나 리붓팅이 가능합니다.
wmic os where "status='ok'" call reboot -리붓팅
wmic os where "status='ok'" call shutdown -종료
wmic os where "status='ok'" call shutdown -종료
명령줄 도구이지만,. 네트워크를 통해서 쿼리도 가능하고, XML 형태로도 출력이 가능하므로 이용방법에 따라서 서버관리자에는 상당히 유용한 툴이 될수도 있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26 |
42 |
windows용 하드 Low Format 프로그램
![]() | 시냇물 | 2012.01.06 | 3518 |
41 |
일 처리 효율
[1] ![]() | 시냇물 | 2011.09.22 | 4991 |
40 |
자동종료&재부팅(winXp(예약된 작업), win7(작업스케줄러))
[3] ![]() | 시냇물 | 2011.09.09 | 10019 |
39 | 압축프로그램 비교 | 시냇물 | 2011.08.18 | 5404 |
38 | IP주소란 | 시냇물 | 2011.05.13 | 10489 |
37 |
Wndows 자동시작(로그인 암호 묻지않음)
![]() | 시냇물 | 2011.04.07 | 7228 |
36 |
네트워크 Tcp/ip 설정
![]() | 시냇물 | 2011.01.29 | 10855 |
35 | 인터넷 탐색기 | 시냇물 | 2010.12.21 | 19834 |
34 |
컴 온도측정
[1] ![]() | 시냇물 | 2010.12.16 | 9759 |
33 | 레지스터 구조 | 시냇물 | 2010.12.14 | 6955 |
32 | 제어판/관리콘솔 실행명령어 리스트 | 시냇물 | 2010.12.14 | 14300 |
31 |
간단 설치형 웹하드 AjaXplorer(한글지원)
![]() | 시냇물 | 2010.12.14 | 15909 |
30 | 초 간단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net use ] | 시냇물 | 2010.12.14 | 12874 |
29 |
하드복구
![]() | 시냇물 | 2010.12.14 | 6433 |
28 |
불량하드검사
![]() | 시냇물 | 2010.12.14 | 20159 |
» | Wmic.exe 사용방법 | 시냇물 | 2010.12.14 | 13519 |
26 | 파일 확장에 대한 설명 | 시냇물 | 2010.12.14 | 8406 |
25 | 컴퓨터 키보드 종류 | 시냇물 | 2010.12.14 | 6619 |
24 | S.M.A.R.T (Self 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System 사용설명 | 시냇물 | 2010.12.14 | 6897 |
23 | ipTIME 공유기로 WoL 기능 활용하기 [2] | 시냇물 | 2010.12.14 | 66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