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의 문제점
2023.07.03 10:00
클라우드 서비스(Amazon, Ms, 구글, 네이버, Sk 등)는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문제점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문제점 몇 가지입니다.
1. 의존성과 가용성: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어지는 경우에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중단이나 기술적 문제를 겪는 경우에도 사용자들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2. 보안과 개인정보: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외부에 저장하므로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보안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해킹, 데이터 유출, 무단 액세스 등의 위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들은 중요한 비즈니스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경우에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집니다.
3. 제한된 컨트롤과 유연성: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의 하드웨어,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프라를 세밀하게 제어하고 맞춤화하는 데 제한을 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의 업데이트나 변경사항을 적용할 때, 사용자는 그에 따라 대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4. 비용과 계약: 클라우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한 만큼 비용이 청구됩니다. 초기 투자 비용은 낮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사용량이 증가하면 비용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주로 월별 또는 연간 계약으로 이루어지므로 계약 조건과 종료 조건에 유의해야 합니다. 일부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계약과 비용 구조가 복잡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5. 벤더 종속성: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하는 것
- 벤더 종속성이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
6. 결론
6.1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근본적으로 어려운 것은 연결속도(인터넷 가입 최고속도(1Gb/s) : 고비용)
- 사무실 환경의 인터넷 속도는 일반적으로 500Mb/s(62.5MB/s : 하드간 복사 또는 일반 네트워크(1Gb/s)의 절반(1/2)속도)
- 연결 시 둘 중 느린 속도로 연결(사무실 500M + 가정 100M = 100Mb/s로 연결)
- 동기화(서류가방) 방식으로 연결하면, 지연 접속으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지만, 데이타를 읽고 쓸때는 인터넷 속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음.
- 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면서 현실적인 사내 네트워크개선(2.5Gb/s ~ 10Gb/s)과 최소 5배~20배(500%~2000%)의 속도 차가 있음.
6.2. 인터넷상의 자료 보안의 안전과 안정성 확보
- 외부에 비치된 자료의 보완과 바이러스등에 의한 안전(외부 관리자 자료접근 가능)
- 백업 이중화(2개의 서버) 및 이원화(100Km 외부에 백업서버)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지만 엄청난 비용을 수반하는 서버용량 투자(클라우드 업체) 불확실
- 사용(저장)량 증가는 곧 비용 상승으로 연결되며, 보유자료 이동 어려움으로 기존 회사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구조
7. 시스템 추천
비용을 들여 보안과 데이타 안전을 외부업체에 맏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저렴한 간이서버 로컬시스템(on-premise)으로 위 문제점을 접근한다면 안전하고 빠른 사내 시스템 구축.
- 온프레미스(on-premise)는 IT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공간에 물리적으로 하드웨어 장비를 가지고 직접 운영하는 방식
- 보안과 장비를 염두하면 초기 투자비는 클라우드 보다 비싸지만, 저렴한 간이서버로 맞춤형 설정하면 초기 및 장기 투자비를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8. 맞춤형으로 아무때나 인터넷이 되는 모든 장소에서 작업이 가능한 신세계를 열어보세요
http://pbns.iptime.org/ex2comp/37411029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31 |
8 | 색상코드 | 시냇물 | 2010.09.08 | 5681 |
7 | 팜업창 띄우는 소스 | 시냇물 | 2010.09.06 | 6767 |
6 | 뉴스주소 | 시냇물 | 2010.09.06 | 5463 |
5 | telnet/ssh 접속 | 시냇물 | 2010.09.06 | 8149 |
4 | 홈페이지 백업 | 시냇물 | 2010.09.06 | 6175 |
3 | 트위터 활용 | 시냇물 | 2010.08.03 | 6326 |
2 | 홈페이지 관련 사이트 | 시냇물 | 2010.07.13 | 5856 |
1 |
바탕화면에 원하는 홈피 또는 특정공간을 연결
![]() | 시냇물 | 2010.07.02 | 5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