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강도와 유출량
Ⅰ. 강우강도
1) 정의
그리 크지 않은 집수구역에서의 배수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유출량(계획홍수량)의 계산을 위해 산출하는 확률년의 확률별, 강주지속시간별 강우량의 크기를 의미하며 mm.h의 단위로 표시.
2) 강우강도의 산정순서
(1) 강우지속시간의 산정(강우도달시간)
① 배수구역의 가장 멀리 떨어진 점에서부터 강우량 산정지점까지 강우가 도달하는 시간
② t=t1+t2
(t:강우지속시간(min), t1:유입시간(min), t2: 유하시간)
(2) 확률년의 결정
① 교량 : 소교량은 50년, 장대교는 100년
② 암거 및 배수관 : 25년
③ 측구 : 5년
④ 노면배수 : 10년
(3) 강우강도 산정
① 전국의 주요 지점별 강우 도표를 이용하여 구함.
② 강우강도식의 이용
(t: 강우지속시간, m,n : 대상지역에 따라 주어지는 상수)
Ⅱ. 유출량
1) 정의
① 유역면적은 도로 집수면적과 도로 인근지대에서 우수가 유입하는 지역의 면적을 합한 것으로 배수구조물의 단면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면적내의 유출량을 계산
② 유출량은 유역면적에 따라 합리식, 표준유출법, 수문곡선 추적법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
2) 합리식 (A < 4㎢)
합리식은 강우량, 유출량의 관계가 비례적이며 강우강도 유역전체지역이 균일하다는 가정이므로 모순점이 있으나 유역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오차가 적게 되므로 소규격의 구조물에 사용함.
3) 표준유출량 방식
① 유역면적이 4㎢이상 40㎢이하일때 적용
② 중소하천의 유출량 측정자료를 근거로 유역면적과 유출량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그한 표준유출률 곡선으로부터 표준유출량을 산정 후 당해지역에 위치하는 지역, 지형조건 및 설계빈도에 따라 설정한 강우계수, 지역계수, 빈도계수를 표준유출량에 곱하여 설계유출량을 구하는 방식
③ 지역계수 (Land factor)
가. 평지 0.80 나. 약간 구릉 : 1.00 다. 산지 1.20 라. 급경사의 산지 : 1.40
④ 확률빈도계수 FF
4) 수문곡선추적법
유역면적이 40㎢ 이상인 광범한 유역의 유출량 계산시 사용, 수문지역도는 우리나라 강우에 맞게 지역별 해석된 자료에 의해 전국을 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