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한자의 6가지 글씨체
2010.08.04 01:11
한자의 여섯가지 글씨체(書體)
0.육서체(六書體) 이전의 글자
(1)갑골문자(甲骨文字)
거북의 등 껍질이나 짐승의 뼈에 예리한 칼로 새긴 글자를 말하며 중국 하남성(河南省) 소 둔촌(小屯村)의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갑골문자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나라 역대 제왕들의 이름과 점괘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상형문자의 단계를 넘어 육서(六書)의 원 리를 갖추고 있어 한자로서 손색이 없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2)금석문(金石文)
주(周거)나라에서 주로 돌이나 비석, 종, 그릇 등에 문자를 새길때 쓰던 글씨체이며, 금문(金 文)이라고도 한다
1.대전(大篆)
은(殷)나라의 갑골문이 주(周)나라 때에 이르러 크게 바뀌게 되는데 이를 가리켜 대전이라고 하 며, 주나라 선왕(宣王)이 당시 태사(太史)인 사주에게 명하여 만든 글씨체이다. 일반적으로 소전 (小篆)이전의 글자와 글씨체를 통털어 부르는 명칭이다. 점과 획의 범위가 복잡하여 조형미가 있 다. 일설에 의하면 고조선의 배달환웅께서 신지(神誌)에 명하여 전서를 만들었다고도 한다
2.소전(小篆)
그 후 춘추전국시대에는 각국이 서로 다른 글씨체를 사용하였으나,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승상인 이사(李斯)에게 명하여 만든 글씨체이다. 대전을 가다듬어서 둥글게 굴려서 만들었는데,
대전에 비해서 정제된 글씨체이다
3.예서(隸書)
전국시대부터 진(秦에)나라의 통일기에 걸쳐 전서(篆書)의 번잡한 자획을 간략화하고, 일상적으 로 쓰기에 편리하게 만든 글씨체인데, 당시 옥리(獄吏)였던 정막(程邈)이 대전을 변화시켜서 만 들었다. 한편 예서란 죄인이나 노예들도 사용기에 편리한 글자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 며, 가로획을 중심으로하여 매우 장식적인 글씨체이다. 일설에는 부여(夫餘)의 왕문(王文)이 만들 었으며, 정막이 사신으로 왔다가 이를 얻어 갔다고도 하며, 여기에서 예(隸)란 노예를 뜻하는 것 이 아니고, 풍류도를 익히는 낭도의 무리를 말한다고 한다
4.해서(楷書)
후한(後漢)의 왕차중(王次中)이 예서를 다듬어서 만든 것으로 예서체보다 단정하고 필법이 법도 가 있어 이를 정서(正書) 혹은 진서(眞書)라고도 한다. 오늘날 우리가 쓰는 한자체의 표준이 되 는 글씨체이다. 일설에는 왕차중이 부여인 왕문의 먼 후손이라고 한다
5.행서(行書)
후한(後漢)때에 유덕승(劉德昇)이 만든 것으로 해서체를 약간 흘려서 모나지 않게 부드럽게 쓴 반 흘림의 글씨체를 말한다. 왕희지(王羲之)와 그의 아들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6.초서(草書)
행서를 더욱 간략화하여, 이를 편리하고 빨리 쓸수 있도록 글씨의 짜임새와 필획을 단순화 시킨 글씨체로써 곡선위주의 흘림체이다. 초서 역시 왕희지(王羲之)와 그의 아들에 의해서 극치를 이 루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고서들이 초서체로 작성되었다. 한글이나 영어의 필기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도로포장 설계_지침_공법 교육(대전청,2012.02.01) | 연필깍이 | 2012.01.31 | 10414 |
공지 | 정보공유 | 시냇물 | 2010.08.02 | 3271 |
13 |
기술사 답지
![]() | 시냇물 | 2010.11.08 | 2722 |
12 |
기술사 준비노트
![]() | 시냇물 | 2010.11.08 | 2903 |
11 |
1교시 단답형 작성요령
![]() | 시냇물 | 2010.09.07 | 1684 |
10 | 토목시공기술사 1차필기 관련 표정리 [1] | 시냇물 | 2010.09.07 | 2522 |
9 | 기술사 기출문제 | 시냇물 | 2010.09.07 | 2155 |
8 |
시공 문제풀이(69회~93회)
![]() | 시냇물 | 2010.09.01 | 3568 |
7 |
콘크리트 정리
![]() | 시냇물 | 2010.09.01 | 5364 |
6 |
시공기술사 용어정리
![]() | 시냇물 | 2010.09.01 | 11415 |
5 |
시공 서브노트
![]() | 시냇물 | 2010.09.01 | 2003 |
4 |
노트정리
[2] ![]() | 연필깍이 | 2010.07.26 | 4277 |
3 |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환경부 2010.06.)
[1] ![]() | 연필깍이 | 2010.07.21 | 2479 |
2 | 시공기술사_02_계측총정리(김동환) [3] | 연필깍이 | 2010.07.14 | 1371 |
1 |
시공기술사_92회 예상문제
[2] ![]() | 연필깍이 | 2010.07.14 | 79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