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 |
|
건설공사비지수(Construction Cost Index)는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특정시점(생산자 물가지수 2000년)의 물가를 100으로 하여 재료, 노무, 장비 등 세부 투입자원에 대한 물가변동을 추정하기 위해 작성된 가공통계 자료임 |
|
사용목적 및 필요성 |
|
ㆍ |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는 기 수행된 유사사업을 통해 축적된 신뢰성 있는 공사비자료를 이용하여 차기사업의 실제가격을 추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
ㆍ |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는 기존의 원가계약 방식과는 달리 과거에 축적된 계약단가를 바탕으로 차기사업의 설계가격을 산정하게 되므로, 계약시점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계약단가간의 물가변동에 의한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함 |
|
따라서, 건설공사비지수는 공사비 실적자료의 시간차에 대한 보정과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기준, 그리고 건설물가변동의 예측 및 시장동향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음 | |
|
개발 기준 |
|
지난 2월부터 발표하고 있는 건설공사비지수는 우리나라의 건설관련 기초 통계자료 특성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2000년 연평균 지수를 100으로 설정하여 작성되었음 |
|
ㆍ |
대상품목 |
|
- 모집단은 산업연관표상의 건설부문 총산출액 중 부가가치부문(영업잉여, 고정자본소모, 간접세 등)을 제외한 금액으로, 건설공사의 직접공사비를 구성하는 비목으로 설정 - 모집단의 비목중 1/1,000이상(635.8억)의 가중치를 갖는 품목중 가격자료와 연결이 가능한 75개 품목을 선정 - 산업연관표상의 75개 품목을 생산자물가지수의 세부 비목과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232개 세부품목을 선정 |
ㆍ |
가중치 자료 |
|
- 한국은행의 2000년 산업연관표와 생산자물가지수(2000년=100) - 산업연관표 품목(75개)에 해당되는 생산자물가지수 세부품목(232개)을 연결한 후 산업연관표상의 가중치와 생산자물가지수상의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적으로 가중치 선정 |
ㆍ |
가격자료 |
|
- 한국은행의 생산자물가지수를 기본으로 함 - 생산자물가지수에는 노무비(피용자보수)가격자료가 부재하므로, 노무비(피용자보수)부문은 대한건설협회 공사부문시중노임을 활용 |
ㆍ |
분류체계 |
|
- 산업연관표상의 건설부문 기본부문 17가지 시설물별로 상향 집계하여 총 25개의 지수가 산출되는 데,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최상위 지수가 “건설공사비지수”임 - 7개의 기본 시설물지수(소분류지수)와 5개의 중분류지수, 2개의 대분류지수, 최종적인 건설공사비지수로 분류됨 |
ㆍ |
지수산식 |
|
한국은행의 생산자물가지수를 활용하였으므로, 지수의 산출에는 생산자물가지수의 산정에 이용되는 라스파이레스 수정식을 활용 |
ㆍ |
통계청 승인 및 발표주기 |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건설공사비지수를 개발하고 통계청 일반통계 승인(일반통계 승인번호 제 39701호)을 득함 - 2004년 2월부터 매월 건설공사비지수 동향을 발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