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3과학 극소의 세계

2010.08.06 20:11

시냇물 조회 수:4548

[스크랩] 극소의 세계

 

미시간 대학의 연구소에서 나노탄소튜브를 이용한 미세한 오바마 대통령 얼굴 조각들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굳이 대통령 얼굴을 묘사한 이유는 없으며 단지 연구원들은 나노기술로 어느 정도 크기까지, 무엇을 할수있는지 연구하기 위함이라고한다. 다음소개할 사진들은 모두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인데, 마이크로는 백만분의 일 미터이다(1/1000 mm). 사람 머리카락 두께는 약 100마이크론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50미크론의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하여 만든 오바마 얼굴과 글씨.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오징어의 빨판이다. 오징어는 8개의 다리와 2개의 촉수를 가지고있는데, 촉수에는 사진과 같이 키틴질의 이빨이있다. 각 빨판의 크기는 약 400 미크론 정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바구미의 전자현미경 사진. 주둥이의 크기가 약 100미크론 정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호두나무 잎의 단면. 두께는 50미크론 정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실리콘 박막에 기어를 이용한 기계작동 체계를 만들었다. 아래부분의 큰 기어 직경이 80미크론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바닷물속에 들어있는 각종 미생물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눈입자에 수증기가 접촉한 상태로 냉각된 상태이다. 물방울 직경이 50미크론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평상시 주변에서 볼수있는 꽃가루의 전자현미경사진. 중앙의 가장 큰 꽃가루 직경이 100미크론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풍뎅이의 앞발. 94배 확대.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실험쥐의 뇌세포를 착색하여 보여준다. 이연구팀은 이 연구를 통해 노벨상을 받았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곤충에 기생하는 이종류의 키틴질 피부 표면. 598배 확대한 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개미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 눈의 크기가 약 300 미크론 크기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나방의 겹눈. 각 겹눈의 크기는 약 25 미크론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세포내의 멜라닌 세포를 착색한 것.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어느 잡초(Arabidopsis thaliana)의 잎 뒷면. 털같은 것이 돋아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나방의 눈과 주둥이. 눈의 크기가 약 800 미크론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크림슨 클로버라는 풀잎의 1438배 확대 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기공을 열고 숨쉬는 파리의 전면 모습(1500배 확대)이라고하는데, 전혀 감이 안잡힌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상의 곤충 겹눈. 5653배의 확대사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말벌의 다리 87배 확대 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곤충류의 턱부분에있는 빨판. 765배 확대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해양 식물의 표면. 돌기 하나가 약 50미크론 정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모기의 촉수부분을 1504배 확대한 사진. 안테나도 여러 관절로 이루어져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실험쥐의 뇌세포와 신경계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후 이를 착색한 것.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어느 곤충의 딱딱한 머리부분을 촬영한 사진. 촉수가 촘촘하게 나있다. 58배 확대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알에서 막 깨어난 모기의 촉수 성장점을 찍은 사진, 약 500배 확대하였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펜타 플라워라는 꽃의 꽃가루. 직경이 약 40미크론 정도이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펜타플라워의 암술 머리부분. 암술의 직경은 약 140미크론 정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흡혈 곤충의 빨대부분 256배 확대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유방암 암세포. 이사진을 통해 홀몬과의 작용 및 주변 정상세포와의 연결 등이 밝혀졌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우리주변에서 흔히 볼 수있는 스폰지의 23배 확대사진.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호도잎의 뒷면 근접사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여가방 활용 시냇물 2009.12.22 1529554
54 날려 버릴꺼야 시냇물 2010.08.06 10112
53 조심해야 될 문자메시지 시냇물 2010.08.06 12080
52 남자의 질투 시냇물 2010.08.06 9675
51 내꺼야 file 시냇물 2010.08.06 8055
50 이 나쁜 놈? 시냇물 2010.08.06 13548
49 덮쳐 버릴거야 시냇물 2010.08.06 13541
48 뭔가 좀 이상해 ~~~ 시냇물 2010.08.06 9018
47 이것도 탈 수 있나 file 시냇물 2010.08.06 10952
46 부산의 영어 뜻 file 시냇물 2010.08.06 8582
45 검문소의 새로운 개념(고전유머) file 시냇물 2010.08.06 20620
44 원래 뜻은 다른곳에 시냇물 2010.08.06 10273
43 가장 맞있을때..... file 시냇물 2010.08.06 10189
42 상대성 이론 file 시냇물 2010.08.05 8645
41 망상의 뜻 file 시냇물 2010.08.05 12636
40 다이빙 시냇물 2010.08.05 9245
39 이를 딲아야 하는 이유 [1] file 시냇물 2010.08.04 9810
38 가장 곤란한 질문 [1] file 시냇물 2010.08.04 9435
37 문제풀이 file 시냇물 2010.08.04 10758
36 버릇 [1] 시냇물 2010.08.04 9027
35 최고의 도둑들 ? [2] 시냇물 2010.08.04 8884
접속자 현황
오늘:
184
어제:
466
전체:
1,217,618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