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 이수소(一酸化二水素) 또는 디하이드로겐 모녹사이드(Dihydrogen monoxide, DHMO)의 유해성
1. 눈에 보이지 않는 살인자.
일산화이수소는 무색 무미 무취의 액체로, 해마다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다. 이 사망의 대부분의 원인은 사고로 인하여 DHMO(일산화이수소)를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물질로부터의 위험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고체형태로 된 이 물질에 오래 노출되게 되면 심각한 조직손상(tissue damage)을 입게 된다. DHMO 섭취의 증상에는, 발한(땀) 증가, 뇨분비 증가, 그리고 때때로, 붕 뜬느낌. 구역질, 구토 그리고 체내 전해질의 부조화 등이다. 이 물질에 습관이 들어 중독된 사람들에게 DHMO 섭취를 제한하면 죽음에 이르게 된다.
2. 일산화이수소는?
1). 수산(hydric acid)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산성비(acid rain)의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2). 지구의 환경에 아주 나쁜 영향을 주는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를 일으키는 요소이다.
3). 심한 화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4). 지구자연에 침식작용을 일으킨다.
5). 많은 금속물질에 부식작용을 일으킨다.
6). 전기 사고를 유발하며, 자동차 브레이크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7). 말기 암 환자에게서 절제해 낸 암 조직에서 발견되었다.
8) 이것을 섭취하고 죽지 않은 사람은 통계적으로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9) 의학적으로 200년전이상으로 거슬러 가면 이것을 섭취한 사람은 모두 죽었다.
10) 앞으로도 이것을 섭취한 사람은 모두 죽을 것으로 예상된다.
3. 이것의 오염은 거의 질병( 역병 epidemic)의 수준이다.
오늘날 미국 전역에서 대량의 일산화이수소가 거의 모든 하천과 호수, 그리고 저수지등지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것의 오염은 거의 전지구적이다. 그리고 이 오염은 남극의 빙산에까지 미치기에 이르렀다. 이 DHMO는 중서부지방, 그리고 최근에는 캘리포니아 지방에서까지 막대한 양의 재산상의 손실을 끼쳤다. 직접, 간접 피해는 이것 이상으로 피해를 끼친 물질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4.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일산화이수소는 아직도 가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1). 산업용 용매제와 냉각제로 사용된다.
2). 핵발전소에서 사용된다.
3). 스티로폴(styrofoam)의 생산에도 사용된다.
4). 화재 지연제로도 사용된다.
5). 잔인한 동물실험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
6). 살충제를 살포하는 데도 이용된다.
사용 후 이를 충분히 씻는다고 해도, 이 화학물질로부터 오염된 잔류물질은 남게된다.
7). 인스탄트 식품이나 기타 산업화된 식품에서 첨가제로 사용된다.
8) 거의 모든 식품에 포함되어 있다.
기업은 폐기되는 DHMO를 강이나 바다에 버리지만, 아직까지는 불법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어떤 조치도 취할 방도가 없다. 자연친화적 생활에 대한 이 물질의 영향력은 너무 크기 때문에 더 이상 이런 상태가 방치될 수는 없다.
5. 우리는 이 물질로부터의 위험을 중단시켜야 한다.
그러나 미 연방 정부는 이 물질이 경제의 유지에 중요하다는 이유로 이 위해한 화학물질의 생산과 유통 혹은 사용을 금지시키는 어떤 조치도 취하기를 거부했다.
실제로, 해군과 몇몇 군사기구는 DHMO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수십억 달러를 들어서 전시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시설을 고안하였다. 수백군데의 군사적 조사기관에서는 아주 정교한 지하 배급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 물질을 다량으로 공급받고 있다. 그리고 많은 곳에서는 대량으로 저장해 두고 미래의 사용에 대비하기도 한다.
일산화 이수소 금지 연합(Coalition to Ban Dihydrogen Monoxide)
http://www.dhmo.org/facts.html
일산화 이수소 <위키백과사전정의>
일산화 이수소(一酸化二水素) 또는 디하이드로겐 모녹사이드(Dihydrogen monoxide, DHMO)는 물을 마치 난해한 과학 용어처럼 보이도록 부르는 말이다.
물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는 수소 원자 둘과 산소 원자 하나이기 때문에 화학식 명명법에 따라 일산화 이수소로 부를 수도 있다. 화학식 표현에서는 di가 2를, mono가 1을 의미한다. 이렇게 명명된 물의 다른 이름은 상대적으로 일반인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회(IUPAC)에서는 물에 대해서는 이러한 명명법을 적용하지 않고 관습명인 '물'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이 복잡한 이름을 이용해 물을 유독성물질로 착각하게 만든 사람도 있다. 일산화 이수소를 유독성처럼 보이기 위해 이 물질이 부식, 익사 등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철저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물의 광범위한 이용과 필요성을 생각해보면 이는 장난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은 UC Santa Cruz의 Eric Lechner, Lars Norpchen and Matthew Kaufman가 1989년 처음 주장하였으며, 1994년 Craig Jackson에 의해 수정되었다. 대중적으로 이 주장이 알려진 것은 1997년 14세 소년인 Nathan Zohner에 의해서이다. "우리는 얼마나 잘 속는가"(How Gullible Are We)라는 과학과목 프로젝트에서 여러 사람들에게 일산화 이수소의 문제점을 보여주어 통제의 필요성을 이끌어 내었고, 대중들의 탄원을 모은 것이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이는 과학적 지식에 대한 무지와 과장된 해석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오해에 대한 예가 된다.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과장된 혹은 잘못된 과학적 해석을 내리는 경우의 예는 다음과 같다.
범죄자의 98%가 빵을 먹는다.
일상적으로 빵을 먹는 자는 시험성적이 평균 아래이다.
폭력사건의 90%는 빵을 먹은 지 24시간 내에 일어난다.
과장된 해석은 언제나 오해를 일으키지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여가방 활용 | 시냇물 | 2009.12.22 | 1529554 |
66 |
보일러 오작동
[1] ![]() | 시냇물 | 2021.11.29 | 128 |
65 | 실리콘의 종류 | 시냇물 | 2021.08.08 | 79 |
64 |
전자밥솥에 밥하기
![]() | 시냇물 | 2021.08.04 | 78 |
63 |
요일별 생활패턴
[1] ![]() | 시냇물 | 2017.08.07 | 1876 |
62 | 집안의 냄새 없애는 법 | 시냇물 | 2017.05.13 | 1953 |
61 | 고기냄새 없애는 법 | 시냇물 | 2017.05.13 | 1359 |
60 |
절임배추
![]() | 시냇물 | 2016.12.08 | 1648 |
59 |
대전 타슈 사용요금
![]() | 시냇물 | 2015.07.15 | 1385 |
58 | 지혜 | 시냇물 | 2014.05.22 | 13585 |
» | 유해물질? | 시냇물 | 2013.04.09 | 49925 |
56 |
가족호칭
![]() | 시냇물 | 2013.04.05 | 5139 |
55 | 전화요금 나가는 순간 | 시냇물 | 2013.04.03 | 3889 |
54 |
전통 주
![]() | 시냇물 | 2013.02.21 | 3881 |
53 |
연필로 그린그림
![]() | 시냇물 | 2012.11.29 | 3902 |
52 | 사물의 유래 | 시냇물 | 2012.06.13 | 3276 |
51 | 인체의 신비 | 시냇물 | 2012.06.13 | 2633 |
50 |
남들과 공유하기 힘든 상식들
![]() | 시냇물 | 2012.01.20 | 3288 |
49 |
스웨덴 국회의원
![]() | 시냇물 | 2011.12.16 | 3526 |
48 |
직장인의 일과
![]() | 시냇물 | 2011.12.12 | 3891 |
47 |
맥주
![]() | 시냇물 | 2011.08.04 | 4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