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역사 사찰의 이해

2010.09.05 20:35

시냇물 조회 수:8301

1. 사찰에서의 예절


   가. 절에 가기전에

        o 몸을 깨끗이 할 것

        o 입을 조심하여 다른사람과 다투지 않도록 할 것

        o 옷을 세탁하여 정갈한 모습이 되도록 할 것

        o 가사 정리를 철저히 할 것

        o 쓸데없는 욕심을 일으키지 말 것


   나. 사찰 안에서

        o 합장과 반배: 인도 고대로부터의 인사법이었는데 불교의 인사법으로 된 것임

           - 합장: 두 손을 들어 올려 두 손바닥을 가지런히 합하여 가슴에 댐.

                      이때 가슴과의 각도는 15도 정도로 벌림

            ※ 합장은 흩어진 마음을 모아 온 정성으로 부처께 돌아가는 것을 뜻하며,

                나와 남이 대립적 상태에서 화합적 상태가 됨을 뜻함

           - 반배 : 큰 절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두 반배를 하며 방법은합장한 자세에서

                       45도 각도로 허리를 굽히는 것이 알맞다.

        o 법당예절: 절에가면 언제나 큰법당(대웅전,대적광전,무량수전)부터 참배하는 것이 순서임

           - 법당에 오를 때는 중앙계단을 피하고 옆계단을 이용해야 하며,
              계단이 하나 밖에 없을 때는 중앙을 피해 양 옆으로 오르 내린다

           - 법당을 출입할 때는 중앙문을 피함(중앙문은 큰스님만 출입 가능)

           - 법당에 들어갈 때는 조용히 문을 연 후 신을 가지런히 벗어놓고  오른쪽 문이면
              왼발부터 들어가고 왼쪽문이면 오른발부터 들어감.

              이것은 부처님을 항상 가슴쪽으로 하여 등지지 않기 위함이다.

           - 입구에서 합장 반배한 후 합장한 자세로 발뒤꿈치를 들고 소리나지 않게
              중앙 불단에 가까이 가서 합장 반배한 후에 촛불을 켠
다음에 향을 하나만 피워
              두 손으로 조용히 향로에 꽃는다. 만약
다른 사람이 불을켜고 향을 꽂았으면
              가져간 초와 향은 불단에
올려 놓는다.  다시 합장 반배한 후 합장자세로
              뒷걸음으로 물러
나와서 삼배를 올린다

           - 절을 할 때의 위치는 중앙을 피하며, 법당에 항상 놓여있는 세개 정도의 큰 좌복은
              신도가 사용해서는 안된다


           ※ 삼배법(三拜法): 불전에 나아가 먼저 합장한 자세로 반배를 한 다음 오체투지의
                                       큰
절을 세 번 올림. 큰절은 반배 후 합장한 자세에서 두 무릎을
                                       조용히 굽힘. 이때 왼손은 앞가슴에 두고 오른손을 먼저 내려
                                       이마가 닿을 지점에 짚은 후, 왼손도 함께 나란히 짚으면서 이마가
                                       바닥에 닿도록 몸을 굽혀 절을 합니다.

                                       그리고 손바닥을 위로 젖혀 약간(10㎝) 들어올려 부처님께 귀의함

                                       을 뜻합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무릎을 꿇고 엎드릴 때 오른발이

                                       밑으로 왼발이 위로 가도록 포개고 일어날 때는 반대의 동작으로 함.

                                       일어날 때에는 올렸던 손을 뒤집으면서 머리를 듬과 동시에 발을

                                       풀고 왼손을 가슴에 대는 듯 일어서면서 본래의 합장의 자세를 취

                                       하며 이와 같이 세 번을 한 다음 반배의 예를 올리는 것이 삼배법임.


        o 도량에서의 몸가짐

           - 노스님이나 노 신도님을 만나면 합장 반배 한다

           - 도량을 걸어 다닐때는 조용히 걷고 신발을 끌고 다녀서는 안된다

           - 도량 내에서는 뒷짐을 지고 다니지 않도록 한다

           - 법당 문에 걸터앉아서는 안된다

           - 스님들이 공부하는 처소에 허락 없이 출입해서는 안된다


        o 법회시의 예의

           -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회시간 전에 도착해야 한다

           - 법회가 시작되면 출입을 금한다

           - 법당일 경우 중앙쪽을 피해서 앉아야 한다

           - 법문 중에는 옆 사람과의 잡담을 금한다


        o 스님에 대한 예의

           - 법명은 함부로 부르지 말며, 세속적인 과거사 등의 질문을 하지 않도록 함
           - 절이나 길에서 만나면 반드시 공경하는 마음으로 합장, 인사한다


        o 경전을 대할 때

           - 경전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한 법보이므로 귀중히 간직한다

           - 경전위에는 다른 물건을 일절 놓지 않는다.

           - 경전을 넘어다니는 일이 없도록 하고 독송하지 않을 때는 높은곳에 보관한다

           - 먼지나 더러운 것이 묻었을 때는 입으로 불거나 걸fp로 닦아서는 안되며
              깨끗한 수건으로 닦아야 한다


2. 법당 명칭별 불상 
   

        o 예배와 기원이 행해지는 곳으로서 신앙의 대상이며 예배의 대상이신 부처님,보살님,
           각종 수행자 및 호법신(護法神)들의
귀한 모습들을 형상화하여 모셔 놓는다

        o 법당에는 불당, 보살당, 복을기원하는 법당,특수법당이 있다

        o 불당 : 본존 주불에 따라 불당의 명칭이 달라지며 다음과 같음

불당명칭

주불

비고

대 웅 전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보현보살

부처님위치기준

대적광전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무량수전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미 륵 전

미륵부처

 

 

 

약 사 전

약사여래

일광보살

월광보살

 

           ※ 해인사처럼 중앙에 위치한 주 법당일 경우에는 『대적광전』또는 『대명광전』이라
               하며 “대웅전이 있고 따로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는 비로전  이라고
               현판을 걸게 된다

        o보살당 : 원래 이런 용어는 사용 않으나 타 법당과 구별하기 위함

명  칭

주  불

비  고

관음전

관세음보살을 모신곳

원통전이라고 현판을 걸기도 함

지장전

지장보살을 모신곳

명부전,시왕전이라고도 함


        o복을 기원하는 법당 : 복은 비는 것이 아니고 짓는 것임

명  칭

비고

나한전

부처님 다음으로 최고경지에 도달한 수행자라는 뜻

응진전 이라고도 함

독성각

나반존자를 모신곳

시험,사업시 어려울때 기도

칠성각

인간의 길흉화복은 하늘에서 정한다는 신앙

주불로는 치성광여래

좌측 소재보살, 우측식재보살

산신각

민족고유신앙으로 가장 강함

 

삼성각

칠성,독성,산신을 한 건물안에 모셨을때 삼성각이라 함

“세분의 성인이 계시는 곳”

이라는 뜻

        o 특수법당


자료 : 합천군 홈페이지

명  칭

비  고

장경각

불,법,승의 삼보가 갖추어진 곳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을 봉안한

 장경각이 대표적

설법전

설법과 큰의식 거행용으로 건립

 

팔상전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장면의 그림으로 그려서 봉안한 곳

 

영산전

 “영산회상도라”를 봉안 하는곳

부처님이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한 장면을 영산회상도라 함

접속자 현황
오늘:
412
어제:
430
전체:
1,217,380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