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전기접지와 콘센트방향(전자파 잡기)
2020.09.07 09:38
1. 개요
- 전기적인 측면의 접지는 전기설비간의 전위차를 제로볼트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낙뢰, 잡음, 과도전압전류의 유입 및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고 나아가서 감전등으로 부터 인명을 보호하는데 있다
- 사용자는 위사항에 대해 간과할 수 는 없지만 기술자들이 신경써야하는 과정이고, 실사용하는데 있어 사용자관점에서 접지의 중요성과 방법을 정의한다
2. 접지의 중요성
- 전위차를 없애기 위해 접지의 끝을 땅속에 묻는 것을 어스(earth) 또는 그라운드 접지라고 한다
- 접지를 하지 않았을때 과도한 잔류전류 형성으로 여러가지 문제점을 형성한다
2.1 기계장치
- 내부에 과도한 전류가 형성될 경우 민감한 기계장치에 오류를 유발하거나 파손시킬 수 있음
- 즉 컴의 오작동, 모니터화면 떨림, 스피커의 윙소리, 전기장판의 전자기파등은 접지를 하지 않을시 일상적으로 발생
2.2 신체
- 일시적인 전류(A)의 신체통과 즉 감전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 전자기파가 형성되기어 장기적인 신체손상을 유발함
- 감전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은 일반적이지 않으므로 전자기파에 의한 장기적인 영향이 사용자에게는 더 중요할 수 있음
3. 접지방법
3.1 건물내 접지선 이용
- 근래건축된 건물의 인입선 3상 또는 4상의 한선(녹색)을 접지선으로 사용(오래된 건물은 2선(접지없음))
3.1.1 접지플러그 활용
- 플러그 모양
한국의 일반적인 접지플러그는 type F 이며 A~C는 접지가 불가능한 형태임
왜 위아래가 동일한 플러그로 혼선을 유도하는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알면 댓글, 급한 국민성?) 상단의 이미지와 같이 전자기파 발생량은 차이가 있고 접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을수 있으니 맞춰서 사용하는것이 좋을듯 하네요
- 접지와 콘센트 방향에 의한 전자파량
- 접지테스터기
정상적인 접지와 전류방향 연결은 빨강과 노랑 2개가 들어오며, 역상의 경우 연결플러그(2번)를 뒤집어서 연결하면 변경되고, 멀티탭이 역상으로 연결되어도 최종 기기연결 콘센트만 정상으로 맞추면(중성선(N)의 위치는 제품별로 다를 수 있음) 접지와 전류방향이 맞춰짐.
위 사진은 일반적인 경우(사진상 밑줄친 중성선(N)의 위치 확인(활성선(L)은 표기가 다양함)필요)이니 참고하세요.
3.2 주변시설 활용
- 노후된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수도관 접지를 많이하며 어려울시 가스관(위험성 논란?)도 사용하는데 아래그림과 같이 Tv안테나선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결론
- 민감한 기계(컴등)는 과전류에 치명적이며 재산적손해(데이타 소실, 화재)가 발생하고, 감전등의 위험이 있음
- 대부분의 가전제품은 전자파를 유발하며, 실험가전제품의 전자파량은 접지만으로 70%이상 감소하고, 콘센트 방향까지 맞추면 99%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신경써서 콘센트 방향(활성선(L), 중성선(N))만 맞추면 95%이상감소)
- 접지콘서트는 건강을 위해 기본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콘센트 방향까지 맞추면(활선(L), 중성선(N)) 전자파량이 1%미만으로 감소하므로 건강을 위해서라도 고려해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판단됨.
- 아직까지 전자파의 유해성은 논란이 있으나 여러가지 증상(암, 두통, 어지러움등)들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약간의 투자로 지속적인 효과를 본다면 이보더 더 좋은 투자는 없을 것으로 보여지며, 가전제품의 오작동 및 성능향상(Tv떨림, 스피커잡음)에도 효과가 있음.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29 |
5 |
스마트 이중백업(파일서버) 자료 정의
![]() | 시냇물 | 2021.07.12 | 278 |
4 |
업그레이드 list
[1] ![]() | 시냇물 | 2019.05.15 | 1512 |
3 |
디딤(DiðDim)이 필요하실 분들
![]() | 시냇물 | 2019.05.06 | 2125 |
2 |
백업 프로그램 설치방법
![]() | 시냇물 | 2019.04.24 | 2258 |
1 |
스마트 이중백업 디ð딤
[6] ![]() | 시냇물 | 2019.04.24 | 21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