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홍보 PC 실 사용 속도

2022.08.08 17:58

시냇물 조회 수:107

  • PC는 중복연산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명령 입력 후 관련 장비로 결과물을 도출하는 시간이 필요한 장비
  • 주 작업의 시간을 소요하는 장비 중 1개라도 병목을 일으키면, 다른장비는 대기하므로 전체속도 및 능률이 저하됨.

 

1. PC 저장장비 향상

  • PC 내부장치 중 속도면에서 가장 불리한 장치인 HDD를 메인 저장장치로 공용폴더를 사용하면 랜 접속으로는 110MB/s를 넘기기 어려우며, 관리PC도 130MB/s 정도로 1T Byte를 복사하는데 8시간이 소요된다
  • 고가의 NAS는 SSD 또는 M.2를 지원하지만, 가성비 측면에서 요즘 일반 보드는 Pcie3 또는 4까지 지원하며, 여러개의 HDD가 가능하도록 SATA 포트 및 RAID를 지원함

  • 일반 NAS는 1gb/s에 HDD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제품 형태로 일부 업그레이드는 불가하며, 개선을 위해서는 교체 만 가능함
  • SATA3 이상 지원이 가능한 저사양 PC로도 구현가능하며, 윈도우 기본으로 Webdav 등을 활성화 시킨다면 파일서버 역활가능

2. 네트워크 장비 향상

  • 여러개의 코어와 쓰레트로 다중작업을 하는 CPU도 연산을 분배해 주는 제어 장치가 있으며, 각각의 작업에는 주 공정이 존재햐여 피할 수 없는 작업시간 아니 속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 공용폴더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더욱더 네트워크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병목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랜카드와 케이블 등 네트워크 설정은 매우 중요
    • 랜 카드의 경우 요즘 보드에 장착되어 기본지원하는 1gb/s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고 전송 속도는 125MB/s 이다(즉 초당 125M Byte를 전송, 실속도는 100M가 조금 넘음, 신형보드는 2.5gb/s를 내장)
    • 빠른 속도의 10gb/s 랜카드도 있으나, 5gb/s 이상의 속도는 가성비 면에서 불리함

    • 용량에 맞는 스위치 허브 설치(단순연결 또는 메인허브 검토 필요)  
    • 케이블은 전송속도에 따라 종류별로 설정 필요
  • 속도지원에 맞는 장비를 선정 후 조합하여야 특정구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병목 피해 최소.

 

3. 위와 같이 PC 내부 또는 외부(네트워크, 인터넷)의 조합이 필요하며, 고가이며 느린장비(NAS) 보다는 아래의 장비의 조합으로 최저속도를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며 많은 비용을 절가할 수 있음.

  • 고가의 cpu 및 비디오카드는 그래픽작업자 위주로 배치하고
  • 여유비용으로 PC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네트워크(랜, 랜선, 허브)에 투자하고
  • 고가의 공용폴더 장치(NAS)에 HDD 작업보다는 여유 또는 저렴한 PC에 SSD 이상의 저장장치를 이용

 

4. 전체 사용자의 PC를 고성능으로 설정하기 보다는 사용빈도가 높은 느린장비 교체가 최우선, 고급 스포츠카도 중분대가 있는 왕복2차선 고속도로에서 아무리 달려도 앞차를 앞지를 수는 어렵습니다.

 

접속자 현황
오늘:
474
어제:
435
전체:
1,211,369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