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자료관리 저장장비 설정
2021.09.16 17:59
아직까지 데이타를 저장하는 가장 편하고 저렴한 방법은 HDD 드라이브임
기존의 CD나 플로피디스크는 저장 및 관리가 매우 불편하고 SSD나 M2는 용량대비 매우 고가
1.저장장치 구매 및 활용
- Nas를 구매하여 여러형태의 Raid를 설치하여 관리
- 윈도우 지원 Raid를 활용
- 소프트웨어로 백업관리
2. 장•단점
- 우선 전용 Nas를 구매하여 지원 Raid를 구성하려면 비용면에서 제일 불리하고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공부하여야 함
-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방법은 조금만 숙지하면 구성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함
- 자료의 분실만을 고려하고 하드에 백업하면 비용면에서는 매우 유리하나 하드오류시 대처방안이 적음
3. Raid 구성 필요성(Raid란 : https://harryp.tistory.com/806)
- 전문적으로 하나의 자료라도 분실 또는 성능의 향상을 극대화 하려면 필요함
- 하드웨어의 오류로 인한 자료 분실보다는 백업하지 않아 잃어버리는 데이타가 현실적으로 매우 큼
4. 물리적 오류복구 필요성
- 백업된 자료가 있다면 물리적복구의 필요성 자체가 무의미 함
- 하드의 오류는 매우 적으며 발생한다고 해도 부분적으로 시작하여 장시간에 걸쳐 다른 자료도 오류가 발생하므로 메인하드의 철저한 관리 및 교체주기만 지켜준다면 크게 우려할 사항이라고 보기는 어려움
5. 개선안
- 장비를 구매하여 순간적인 데이타까지도 물리적오류를 잡으려 한다면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므로, 메인 HDD만을 잘 관리하고 백업만 철저히 한다면 중요한 자료는 안전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가의 장비구입보다는 메이보드(B550: pcie 4.0)에 cpu(amd 3000이후버젼), m2(980 pro:1T)를 달고 랜 10G설정을 하고 백업용 하드를 구입한다면 비용은 절반이하에서 월등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음
6. 결론
- 통신에 가장 시간을 잡어먹는 하드드라이브를 구성하기 보다는, 소규모 업체에서는 비용도 절반이하인 100배이상 빠른 m2를 구현하여 10배빠른 랜카드를 구성하고 백업한다면 안전도 및 성능면에서 훨씬 더 유리한 결과를 돌출할 수 있음
- 체감속도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성능이 빨라지는 것은 잘 느끼지 못해도 작업하다가 기존방식 또는 Nas로 작업하게 된다면 확실한 차이를 느낄수 있음
- 경비를 들여 개선하는 것이 좋겠지만 한정적인 자산에서 어떠한 것이 좋을지는 한번 생각해 보시길
- 자료관리가 안되는 혼자만의 하드저장방법을 고집한다면 위 사항은 해당없음(장기적으로 관리는 필수)
- 문의 사항은 아래로 연락 주세요!
- 시간여유가 있으면 네트워크 신세계를 방문해 보세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19 |
9 |
윈도우 업데이트 중지하기(문제회피)
![]() | 시냇물 | 2025.03.21 | 112 |
8 | v3 클라우드 자동분석 전송 끄기 | 시냇물 | 2022.01.22 | 164 |
» | 자료관리 저장장비 설정 | 시냇물 | 2021.09.16 | 262 |
6 | 서버(파일, 작업) 구축 및 비교 | 시냇물 | 2021.07.09 | 878 |
5 | 하드구매 시 고려 [1] | 시냇물 | 2021.07.09 | 136 |
4 | 컴 장비(메인보드 등) 업그레이드 시 고려사항 | 시냇물 | 2021.05.18 | 73 |
3 | 윈도우 파일히스토리 | 시냇물 | 2020.08.11 | 978 |
2 |
네트워크드라이브 연결 및 보안
[2] ![]() | 시냇물 | 2010.08.26 | 128 |
1 | Back Up폴더 정리 | 시냇물 | 2009.12.29 | 2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