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생활 결로방지

2015.12.21 10:24

시냇물 조회 수:2600

[결로 현상]

표면 결로와 내부 결로가 있다. 표면결로는 벽과 배관, 유리면의 표면온도가 낮아지고 표면 부근의 공기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로 되면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말한다. 표면이 결로수에 의하여 습기를 머금고 때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발생원인은 외부온도 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클 경우, 내부습도가 상당히 높을 경우 등. 방지대책은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것. 빨래 등 습기있는 물건을 실내에 널지 말것. 건조한 공기를 자주 환기 시킬 것 등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결로현상 [結露現象] (인테리어 용어사전)

 

 

한마디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클 경우 생기는 것이 바로 결로현상입니다.

자. 그럼 완벽한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를 줄이는 것 입니다.

하지만, 겨울철 영하의 실외온도를 따라 실내온도를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이 완벽한 해결 방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면 다른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바로 내부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시키는 것 입니다.

그리고 거기에 따른 습도 조절을 해 주는 것에 있습니다.

내부의 습도가 낮게 된다면, 물이 맺혀질 일이 없을 것 입니다.

보통 실내 온도 20도에 습도가 50%정도면 품질이 좋은 PVC 이중창을 사용했을 때, 실내 결로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이중창에서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창문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바깥창에 결로가 발생해 물이 떨어진다고 해서 해당 창문에 결로현상이 생긴다고 볼 수 없습니다.

 

두번째 추천 방법은 제습기 입니다. 해당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방에 제습기를 짱짱하게 틀어놓으면, 모든 결로 현상은 사라집니다. 하지만... 전기세가 우리의 발목을 잡죠.

 

 

 

 

 

그럼 지금부터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이슬점(노점온도)가 중요합니다. 집안의 온도가 20도이고, 집 안의 습도가 60%이면, 11.9도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됩니다. 창문의 표면온도가 11.9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로이유리를 사용한 시스템창문이나 일반 이중창 같은 경우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 단창이 건물 외부와 직접 면하고 있다면... 조금 문제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결로현상의 원인은 환기상의 문제와 신축건물의 특성, 그리고 시공시 단열재 사이의 틈새발생, 건물의입지조건, 동절기에 시공되어진 건물,등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즉 결로현상의 해결책으로는 시공과정의 완벽한 단열수준과, 생활자의 생활습관, 등등 박자가 고루맞아야 하는것입니다. 시중에 나와있는 결로현상의 공법은 내부에서 단열보완의 수준이기에 불가능한것이고 그 이유는 공사비의 부담이 가장 큰 원인일것입니다. 단열보완의 공사는 얼마나 결로현상이 얼마나 줄어드는것이 관점이지 완벽히 없애는것이 아닙니다.

 

 

 

그럼 결로현상을 저렴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1. 창문을 열어 환기 시키기 :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 그리고 습도를 낮추는 최고의 방법.

2. 제습제를 집안에 여러군데 놓기 : 집 내부의 습도를 낮춰 이슬점이 높아집니다.

3. 뽁뽁이 붙이기 : 내부 온도가 상승이되어 이슬점이 높아집니다.

4. 단열 커튼 설치 : 내부 온도가 상승이되어 이슬점이 높아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 인형놀이 file 시냇물 2011.01.11 9425
1 종이접기 file 시냇물 2011.01.11 13066
접속자 현황
오늘:
215
어제:
466
전체:
1,217,649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