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LAN, USB, 하드(SATA) 전송속도(이론 및 실사용) 비교
2013.04.15 21:40
기술 | 초당 비트수 | 초당 바이트수 | 장치 실 체감속도 |
비고 |
폰 3G 속도 USB 1.0 Fast Ethernet (100BASE-X) 무선랜 802.11n 폰 LTE 속도(Usb 테더링) 무선랜 802.11ac(80Mhz) |
다운:10, 업:3 12 Mb/s 100 Mb/s 15~150Mb/s 다운:160(47),업:40 433 Mb/s |
0.125 12.5 MB/s 1.9~18.8MB/s 다운:25(6), 업:5(2) 54 MB/s |
다운:1.3, 업:0.4
10 MB/s 10 MB/s 다운:25, 업:5 |
3G 폰
100M 랜카드 구형노트북 LTE 폰 |
USB 2.0 Micro SD카드 |
480 Mb/s
|
60 MB/s 30~300MB/s |
20 MB/s 10~150MB/s |
+SD 외장
|
폰 5G 속도(Usb 테더링) Gigabit Ethernet (1000BASE-X) |
다운:800~600(340), 업:70~60(45) 1 Gb/s |
125 MB/s |
다운:90(40) 업:8(5) 60 MB/s |
5G 폰 (비대칭전송) 1G 랜카드 |
SATA 1 Pci Express 1.0 2.5G Lan card |
1.5 Gb/s
2.5 Gb/s |
187.5 MB/s
312.5 MB/s |
45 MB/s 220 MB/s 280 MB/s |
+SSD 내장 +M.2 내장 |
SATA 2 | 3 Gb/s | 375 MB/s | 75 MB/s | +HDD |
PCI Express 2.0 |
4 Gb/s | 500 MB/s |
|
|
USB 3.0 |
4 Gb/s |
500 MB/s |
40~350 MB/s 100 MB/s |
+SD 카드 +HDD 외장 |
SSD USB 3.x gen 1 |
5 Gb/s | 625 MB/s | 180 MB/s | +SSD 외장 |
SATA 3 | 6 Gb/s | 750 MB/s |
110 MB/s 300 MB/s |
+HDD 내장 +SSD 내장 |
PCI Express 3.0 (×1) | 7.88 Gb/s | 984.6 MB/s | ||
Dual link DVI | 8.03 Gb/s | 1.00 GB/s | ||
무선랜 802.11ac(160Mhz) |
0.9~7 Gb/s |
0.1~0.9 GB/s |
150 MB/s |
노트북 (5G 속도) |
무선랜 802.11ax USB 3.1(USB3.2gen 2,c-type) 10 Gigabit Ethernet (10GBASE-X) |
9.6 Gb/s
10 Gb/s(GEN 2) |
1.2 GB/s
1.25 GB/s |
200 MB/s 400 MB/s |
신형공유기 10G 랜카드 속도(cat7)&m2 |
PCI Express 2.0 (×4) PCI Express 3.0 (×2) |
15.76 Gb/s | 2 GB/s | 10G 랜카드 연결단자 | |
Thunderbolt USB 3.2 gen 2x2 (C-type) |
20 Gb/s | 2.5 GB/s | ||
Thunderbolt = USB 4 | 40 Gb/s | 5 GB/s | 신형노트북 연결단자 | cat8 (25~40gb/s) |
PCI Express 2.0 (× 8) = PCI Express 3.0 (× 4) |
||||
= Nvme M.2 pcie3.0 = Gen3 |
31.5 Gb/s | 3.9 GB/s | 1 GB/s |
M.2 2개 PM981a |
PCI Express 3.0 (× 8) | 63 Gb/s | 7.9 GB/s | ||
PCI Express 2.0 (×16) | 64 Gb/s | 8 GB/s | 구형비디오카드 | |
PCI Express 3.0 (×16) | 126 Gb/s | 15.8 GB/s | 비디오카드 | |
PCI Express 4.0 (×4) = Nvme M.2 pcie4.0 = Gen4 PCI Express 4.0 (×16)
|
64 Gb/s
252 Gb/s
|
8 GB/s
31.5 GB/s
|
2 GB/s
|
m2 980pro PM9a1 신형비디오카드 |
PCI Express 5.0 (×16) | 504 Gb/s | 63 GB/s |
램 속 도
8바이트(Mhz=MT/s) 모듈규격(오버x) GB/s 비율 비고
DDR1 266~400MT/s
DDR2 533~800MT/s
DDR2-667 pc2-5,300 5.3GB/s 25%
DDR2-800 pc2-6,400 6.4GB/s 30%
DDR3 800~1,600MT/s
DDR3-1066 pc3-8,500 8.5GB/s 40%
DDR3-1333 pc3-10,600 10.6GB/s 50%
DDR3-1600 pc3-12,800 12.8GB/s 60%
LPDDR3 2,133MT/s 12.8GB/s 60%
DDR4 2,133~3,200MT/s
DDR4-2,933 23.4GB/s 110%
DDR4-3,200 pc4-25,600 25.6GB/s 120% 삼성순정 최고속도, 기본 램오버
LPDDR4 3,200MT/s 25.6GB/s 120% 기존 노트북에 무게를 줄이려구 적용(추천안함)
LPDDR4X 4,266MT/s 27.4GB/s 129% 가볍고 고사양 노트북에 적용(일반 DDR4와 성능비슷)
DDR4-3,733 29.9GB/s 140% 일반보드에서 패브릭 동기화 1:1 최고치
DDR4-3,800 30.4GB/s 143% 143% 운 좋으면 오버(보드에 따라 다름, 동기화 지원시 추천)
DDR4-4,266 34.1GB/s 160% 125% 인피니티 패브릭 동기화 램오버 추천안함, 속도저하
DDR4-4,400 35.2GB/s 165% 130% DDR4 > DDR5 4800Mhz 능력
성능 환산(1:1)
DDR5 4,800MT/s ~ 6,400MT/s(1:2)
DDR5-5,200 pc5-41,600 41.6GB/s 195% 140% > DDR4 3200Mhz 5%업
DDR5-5,600 pc5-44,800 44.8GB/s 210% 150% = DDR4 3733Mhz CL14
DDR5-6,000 pc5-48,000 48.0GB/s 225% 160% 정품램은 아직, 오버제품
DDR5-6,400 pc5-51,200 51.2GB/s 240% 170%
LPDDR5 6,400MT/s 51.2GB/s 240% 170%
한눈에 보기 쉽게 DDR3, DDR4, DDR5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DDR3 | DDR4 | DDR5 | |
출시 년도 | 2007 | 2016 | 2020 |
동작 전압 | 1.5V | 1.2V | 1.1V |
핀 수 | 240 | 288 | 288 |
모듈당 용량 | 1~16GB | 2~32GB | 8~64GB |
단일 채널 전송속도 | 800~2133MT/s | 1600~3200MT/s | 3200~6400MT/s |
듀얼 채널 전송속도 | 2133~4266MT/s | 3200~6400MT/s | 6400~12800MT/s |
메인보드 내부속도
DMI(Direct Media Interface)의 전송 속도는 GT/s(Gigatransfers per second) 단위로 측정됩니다.
8GT/s의 레인당 = 985MB/s = 1GB/s , 32GT/s 레인당 = 3,938MB/s = 4GB/s
DMI 3.0 x2 ( 6, 2 GT/s) : B365, H310, B360,
DMI 3.0 x4 (12, 4 GT/s) : Z390, Z370, H370,
DMI 3.0 x8 (24, 8 GT/s) : Z590(24), H570(20), B560(12), H510(6, 11세대(Pcie4가능, Xmp불가)), Z490(24), B460
DMI 4.0 x4 (16, 8 GT/s) : B660(Pcie 3x8+4x6), B760(Pcie 3x4+4x10), Z690(Pcie 3x16+4x12),
DMI 4.0 x8 (32, 16 GT/s) : Z790(Pcie 3x8+4x20), H770Pcie 3x8+4x16),
- 시간여유가 있으면 네트워크 신세계를 방문해 보세요
- 전송 전용 Free 쉴드웹하드
댓글 6
-
시냇물
2013.04.15 22:04
-
시냇물
2019.05.29 10:49
실질적인 체감속도는 일반하드(2초) << ssd하드(일반하드 4~5배, 0.4초) << M.2는 (SSD의 10배, 일반하드의 40배, 0.04초) << Pcie 4.0 M.2(0.02초) 이며
0.4초로의 저감(1.6초 SSD)은 체감을 느낄수 있으나, 0.4초에서 0.04초는 민감한 사람이 느낄정도(0.16초)이며 데이타 형식(4k)에 따라 일괄적인 읽기가 아닐때 차이는 더 적을 수 있으나, 대용량 파일을 작업하는 현추세에서는 고려해 볼만함.
-
시냇물
2020.06.01 10:04
하드 복사속도
속도 케이블속도 실제속도 PC성능(저사향) 비고 sata 3 5Gb/s 625MB/s 150MB/s 40MB/s 즉 메인보드 및 하드의 속도가 느리고 네트워크 1gb/s(125MB/s)복사면 실속도 40MB/s
1TB(=1,000gB) / 0.04gB/s = 25,000s = 417m =6.95hr
동일 컴에서 다른하드에 복사시 실속도 110MB/s
1TB(=1,000gB) / 0.11gB/s = 9,090s = 152m =2.5hr
랜 10gb/s + pcie 3 M.2 다른컴에 복사 시 실속도 400MB/s
1TB(=1,000gB) / 0.4gB/s = 2,500s = 42m =0.7hr
sata 3 일반하드에 들어있는 데이타 1T Byte를 복사하려면 3~7시간 정도가 소요됨(100MB/s = 360GB/hr)
M.2 네트워크 복사 시에는 42분 소요되며 동일컴 M.2복사 시에서는 2배이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일반가동 컴에서 복사 시간이 많은 순으로 정의하면
"usb 2.0 > 네트워크 1g > SATA 3 동일하드 > SATA 2 다른하드 > usb 3.0 > 동일컴 SATA 3 다른하드 > 동일하드 SSD > 네트워크 10g > 동일컴 다른 SSD > 동일 Nvme M2 > 다른 Nvme M2 > 동일pcie4 Nvme"의 시간정의가 형성되며, 복사 시 추가적인 요소로 인해 시간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람.
즉 네트워크 1g(체감:80mB/s)를 사용하여 복사하면 네트워크의 속도로 복사시간이 좌우되므로 네트워크 10g(M2사용시 400MB/s)의 사용하면 복사뿐만 아니라, 파일open, save 시간도 단축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장기적 안목에서는 필수요건으로 보여짐.
-
시냇물
2021.09.23 11:20
항목 속도 연결 기기 배터리 소모 주관적인 추천 방법
USB 테더링 속도 빠름 1대 배터리 동시 충전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와이파이가 없고
배터리 걱정없이 테더링
모바일 핫스팟 속도 빠름 최대 10대 배터리 소모 큼 데이터가 없는데 영상을 보고싶을때
여러대를 사용하고 싶을때
블루투스 테더링 속도 느림 1대 배터리 소모 적음 데이터가 없는데 카톡정도는 하고싶을때
배터리가 별로 없을때
USB 테더링 > 핫스팟 > Bluetooth 테더링
폰의 인터넷 속도의 약 30%로 Usb 테더링을 지원하며 약 15% 더 느린속도로 핫스팟을 지원함
즉 폰 속도의 5% 수준으로 핫스팟을 지원하니 참고하세요
- 폰 5G 속도(800Mb/s=100MB/s)를 Ubs테더링 30% 연결(300Mb/s=40MB/s)이 되고 핫스팟은 15%(40Mb/s=5MB/s)가 됨(1MB/s의 속도는 일반적인 동영상 시청이 가능)
월사용 데이타 한계를 넘으면 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는데 인터넷에 해제풀기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해제풀기 : https://www.google.com/search?sxsrf=AOaemvLAAUrdoVhAIMgBFCvU0xj2eV0gzQ:1632362930597&q=%ED%85%8C%EB%8D%94%EB%A7%81+%EC%86%8D%EB%8F%84%EC%A0%9C%ED%95%9C+%ED%92%80%EA%B8%B0&sa=X&ved=2ahUKEwiEkv3kgZTzAhWQPpQKHVCpB_gQ1QJ6BAgSEAE&biw=1920&bih=937&dpr=1
-
시냇물
2022.01.11 11:12
아래표는 순차파일 읽기•쓰기 실 속도
랜1g(100MB/s) < HDD(112MB/s) < 랜2.5g(280MB/s) < SSD(652MB/s) < 랜10g(500MB/s) < M.2 pcie [ 3.0(1.6GB/s) < 4.0(3.5GB/s) ]
랜 1g의 하드 속도는 110MB/s로 HDD만의 속도(150MB/s, NAS등)로 저장장치의 한계가 있음.
가성비 측면에서 가장느린 랜카드와 HDD를 개선한다면 바로 3배에 달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
네트워크 개선 전후(가장 가성비 좋은 투자 2.5gb/s)
→
-
시냇물
2022.01.26 10:25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31 |
130 | 유심개통만으로 기지국(가입통신사) 변경(sk↔kT) [1] | 시냇물 | 2014.11.03 | 1546 |
129 |
핸드폰 주소록 구글 계정과 통합
![]() | 시냇물 | 2014.06.03 | 2973 |
128 | Windows 7에 cad 2006 설치 | 시냇물 | 2014.04.10 | 3540 |
127 |
Es 탐색기 활용
[1] ![]() | 시냇물 | 2014.02.24 | 3425 |
126 |
원주율 (파이, PI, π) 계산법
![]() | 시냇물 | 2014.02.11 | 3010 |
125 | 핸드폰 테더링 | 시냇물 | 2014.01.06 | 2402 |
124 | 무료 DDNS 서비스 소개 | 시냇물 | 2013.12.12 | 2927 |
123 | 핸드폰 관리(추적) [1] | 시냇물 | 2013.11.06 | 3723 |
122 | 구글 캘린더의 할 일 목록 폰과공유 [1] | 시냇물 | 2013.10.02 | 3662 |
121 | 소액결재 | 시냇물 | 2013.09.30 | 3353 |
120 |
CAD2006에서 ARX오류 eDuplicatekey 일때
[1] ![]() | 안나 | 2013.06.26 | 5146 |
119 | 엑셀에서 금액정의(한글) | 시냇물 | 2013.06.03 | 4188 |
118 |
램드라이브(RamDisk)를 활용해서 임시파일(탐색기, 크롬캐시) 저장위치 선정
[4] ![]() | 시냇물 | 2013.04.18 | 8962 |
» |
LAN, USB, 하드(SATA) 전송속도(이론 및 실사용) 비교
[6] ![]() | 시냇물 | 2013.04.15 | 153491 |
116 |
컴 조립
![]() | 시냇물 | 2013.04.03 | 3462 |
115 | 갤럭시 2(LTE, HD포함) 젤리빈 업그레이드 | 시냇물 | 2013.02.12 | 3987 |
114 | 구글 캘린더 음력보기 | 시냇물 | 2013.01.10 | 4163 |
113 | SDXC 64G의 유혹 [1] | 시냇물 | 2012.11.02 | 3957 |
112 |
마이피플 멜 알림 제어
![]() | 시냇물 | 2012.10.24 | 3612 |
111 | 펌웨어 업그레이드 | 시냇물 | 2012.08.22 | 4331 |
위에 있는건 케이블 속도고 장치가동 실속도는 상당히 다름 (1byte = 8bit)
1. 단방향 속도체크 하드(MByte/sec) 복사속도(읽기, 쓰기 한가지만)
sata2 하드 평균 80MB/s
sata3 하드 150MB/s ~ 100MB/s
sata3 ssd 300MB/s ~ 120MB/s
usb(MByte/sec) 하드연결 복사속도
2.0 평균 30M/s
3.0 평균 70M/s
Lan카드(MByte/sec) 하드연결 복사속도
1G 100MB/s ~ 30MB/s
100M 평균 10MB/s
2. 1개의 장치에 동시작업(양방향(읽기, 쓰기) 속도) 체크 -> 데이타 간섭으로 속도 저감됨
M.2 ssd 180MB/s (단방향 300MB/s)
sata3 ssd 100MB/s
sata3 하드 70MB/s
sata2 하드 40MB/s
usb 2.0 sata 하드 20MB/s(네트워크상 공유)
usb 3.0 sata 하드 40MB/s(네트워크상 공유)
usb 3.0 sata 하드 70MB/s(pc 바로연결)
ex.) 네트워크를 통해 usb2.0으로 연결된 외장하드(stat3)끼리 데이타를 복사하면
하드읽기 → usb2.0 → lan(1G) → usb2.0 → 하드쓰기
100 30 100 20 100 (MB/s) = 최저속도 20MB/s의 속도로 복사되는 것이 아니라, 제일먼저 100의 속도로 하드가 읽고 30으로 usb에 전송한다음 100으로 lan카드 전송후 usb에서 20으로 통과후 100으로 하드에 써짐(컴에서 처리하는 속도는 제외하고 단순계산)
20(300/15, 제일낮은 쓰기속도기준) - (300 / 30) - (300 / 100) - ( 300 / 100) = 4.0 (가정값)
5MB/s의 속도정도로 진행됨
제일 느린놈을 개선해야 가장 영향이 크겠지만, 속도증가는 전체를 생각하여야 됨.
3. Nvme M2의 파일서버하드에 10G/b(300MB/s)로 작업하면
읽기→서버 메인보드→Lan(10G)→{개인 PC}→Lan(10G)→서버 메인보드→저장
GB/s: 3 → 34 → 0.3 → 34 → 0.3 → 34 → 3
즉 가장 느린 0.3GB/s(2회)가 전체 속도를 저하시켜 약 0.15GB/S로 가동함을 알 수 있음(즉 1GB 저장하는데 7초의 시간이 소요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