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홍보 백업의 중요성, 재해복구(DR)

2022.11.02 10:42

시냇물 조회 수:313

카O오 공용 데이타 센타 화재(2022년 10월)로 네O버와 달리 복구하는데 5일 넘게 소요되었다.48331_7431_302.jpg

  • DR(재해복구·Disaster Recovery)센터란 수많은 서버가 운용되는 메인 인터넷 데이터센터(IDC)에 화재, 지진, 전쟁 등 재난 상황이 생겼을 때 핵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해 보호하는 일종의 `쌍둥이 데이터센터`를 가리킨다.
  • IDC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설치된다. <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 !!!!! >

 

만약 일주일 업무가 마비된다고 봤을때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추가로 필요 할 수 밖에 없고, 아니면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이 펼쳐질 것 입니다. 

 

1. 물리적 위치 대처(이중 서버, 이원화 서버)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권, IT 기업 등 고객 정보가 많은 기업들은 원 서버를 `백업`(다른 곳에 저장)하는 서버를 둔다.

여기서 장소 개념으로 이중화와 이원화가 등장한다.

  • 이중화란 `같은 데이터센터`에서 원 서버의 내용을 복사해 두는 개념이다.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백업, 그리고 업계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서버 이중화(HA·High Availability)가 대표적인 이중화 기법이다.
  • 데이터센터에서 15㎞ 이상 떨어진 곳에 별도의 백업 데이터센터를 짓는 `이원화` 로 물리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이원화 센타를 늘릴 수록 데이타를 잃어버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1Z6M58GA36_1.jpg

 

2. 저장 방식(백업, 이중화, HA)

  • 단순 백업은 여러 서버 또는 개인파일의 내용을 1개 백업 서버에 저장하는 반면, 

백업2대.jpg

  • 서버 이중화인 HA(High Availability) 솔루션은 1개 서버의 내용을 1개 백업 서버에 저장한다.

매시간.png

  • 원 서버 훼손 시 단순 백업 서버는 복구에 1~2시간이 걸리는 데 반해, HA는 서버를 1대1로 복사했기 때문에 5분 이내로 복구가 가능하다. 다만 1개 서버당 구축 비용을 보면 단순 백업이 150만원인 데 반해 HA는 10배의 비용이 소요된다.
  • HA가 백업에 비해 서버 구축 비용이 더 많이 들고, HA 솔루션을 도입해야 하는 등 별도의 소프트웨어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데이터센터 내에서도 중요한 정보는 HA를, 그렇지 않은 정보는 백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 복사 백업의 개념으로 "미러 사이트-핫 사이트-웜 사이트-쿨 사이트 "등 4가지로 종류로 나뉘어 지며 미러 사이트 방식일 수록 복구 시간이 빠르고 비용은 증가한다.  
  중복 사이트. Mirror 핫 사이트 웜 사이트 콜드 사이트
목표 복구 0~수 분 24시간 이내 수일 이내 수주 이내
장점 1차 사이트와 완전 이중화 수행 고가용성, 데이터 최신성, Active, Standy 서버로 구성 핫사이트로의 전환 용이 저렴, 데이터 백업 가능
단점 고비용, 상시 검토 필요 DB복구 필요 시스템 확보 필요 재해 복구 시간 제일 오래 걸림

 

3. 백업의 중요성

  • "보안의 실패는 용서해도 백업의 실패는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보안 실패는 일부를 잃는 것이고 백업 실패는 전부를 잃는 것이므로,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으며 지금이라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 가성비적인 측면으로도 보안 강화는 중.소기업에서 매우 부담스럽고  대처하기 힘든 부분이며, 백업 강화는 선택이 아니라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 157년 링컨대학 폐교>

3345883_1488528365229.jpeg

  • 이원화 센타나 인터넷 웹상에 백업하려면 가장 큰 문제는 인터넷 속도와 점유시간 및 엄청난 비용 일 것이다.
  • 비용과 시간 및 효율면에서 매우 불리한 인터넷 서버를 운영하기 보다는, 백업에 관심있는 회사에서는 온프레미스(자체 시스템 설정)를 운영하거나, 무방비로 개인 HDD에 작업 후 제출 시 취합하는 방식을 취할 것이다. 

  • 개인 HDD에 작업 후 데이타를 취합하면 중복과 손실을 피할 수 없고, 보고용 및 최종 파일 관리가 어려워지며 안전에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 최소한 자체 데이타 서버(운영(원본), 백업) 자료공유를 권하며, 이를 백업한다면 관리가 매우 용이할 것이다.

  •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 사용하면서 백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백업시간과 데이타 복사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라 할 수 있다.

 

4. 스마트 이중백업 디ð딤

  • 스마트 이중백업이란 미러의 단순한 원본 동기화가 아닌 백업 대상 파일을 별도로 형성하고, 변경된 파일만을 매시간 동시에 이중백업으로 점유시간을 최소화하며, 파일 및 폴더 명 변경은 백업 시 동일 적용되어 저장공간을 스마트하게 관리함.223bb9c97e3ab4d1d830a2e6a06e7947.jpg
  • 물리적 재난(화재 지진 등)에서 이원화 처럼 자유롭지는 않지만, 저렴하게 이중화와 별도PC 동시 백업(백업2 PC)으로 일부 해소하고, 미로(Mirro) 복사의 실시간 원본 동기화의 취약점(랜섬 바이러스 등)을 보완한 매시간 스마트 이중백업 방식을 도입하였다. 
  • 과거로의 복귀도 가능하고 중간작업 자료 활용에 매우 유리한 방식을 추구하며, 기존PC 활용으로 구성비가 매우 저렴 한 온프레미스(자체 시스템 설정)를 구현가능함
  • 자세한 사항은 견본파일을 설치·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 우측로그 이미지 클릭 > 

 

  •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바랍니다.

 

카톡으로 문의(촬영후 연결).png    클릭 또는 촬영

 

접속자 현황
오늘:
474
어제:
435
전체:
1,211,369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