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백업의 중요성, 재해복구(DR)
2022.11.02 10:42
카O오 공용 데이타 센타 화재(2022년 10월)로 네O버와 달리 복구하는데 5일 넘게 소요되었다.
- DR(재해복구·Disaster Recovery)센터란 수많은 서버가 운용되는 메인 인터넷 데이터센터(IDC)에 화재, 지진, 전쟁 등 재난 상황이 생겼을 때 핵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해 보호하는 일종의 `쌍둥이 데이터센터`를 가리킨다.
- IDC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설치된다. <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 !!!!! >
만약 일주일 업무가 마비된다고 봤을때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추가로 필요 할 수 밖에 없고, 아니면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이 펼쳐질 것 입니다.
1. 물리적 위치 대처(이중 서버, 이원화 서버)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권, IT 기업 등 고객 정보가 많은 기업들은 원 서버를 `백업`(다른 곳에 저장)하는 서버를 둔다.
여기서 장소 개념으로 이중화와 이원화가 등장한다.
- 이중화란 `같은 데이터센터`에서 원 서버의 내용을 복사해 두는 개념이다.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백업, 그리고 업계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서버 이중화(HA·High Availability)가 대표적인 이중화 기법이다.
- 데이터센터에서 15㎞ 이상 떨어진 곳에 별도의 백업 데이터센터를 짓는 `이원화` 로 물리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이원화 센타를 늘릴 수록 데이타를 잃어버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2. 저장 방식(백업, 이중화, HA)
- 단순 백업은 여러 서버 또는 개인파일의 내용을 1개 백업 서버에 저장하는 반면,
- 서버 이중화인 HA(High Availability) 솔루션은 1개 서버의 내용을 1개 백업 서버에 저장한다.
- 원 서버 훼손 시 단순 백업 서버는 복구에 1~2시간이 걸리는 데 반해, HA는 서버를 1대1로 복사했기 때문에 5분 이내로 복구가 가능하다. 다만 1개 서버당 구축 비용을 보면 단순 백업이 150만원인 데 반해 HA는 10배의 비용이 소요된다.
- HA가 백업에 비해 서버 구축 비용이 더 많이 들고, HA 솔루션을 도입해야 하는 등 별도의 소프트웨어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데이터센터 내에서도 중요한 정보는 HA를, 그렇지 않은 정보는 백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 복사 백업의 개념으로 "미러 사이트-핫 사이트-웜 사이트-쿨 사이트 "등 4가지로 종류로 나뉘어 지며 미러 사이트 방식일 수록 복구 시간이 빠르고 비용은 증가한다.
중복 사이트. Mirror | 핫 사이트 | 웜 사이트 | 콜드 사이트 | |
목표 복구 | 0~수 분 | 24시간 이내 | 수일 이내 | 수주 이내 |
장점 | 1차 사이트와 완전 이중화 수행 | 고가용성, 데이터 최신성, Active, Standy 서버로 구성 | 핫사이트로의 전환 용이 | 저렴, 데이터 백업 가능 |
단점 | 고비용, 상시 검토 필요 | DB복구 필요 | 시스템 확보 필요 | 재해 복구 시간 제일 오래 걸림 |
3. 백업의 중요성
- "보안의 실패는 용서해도 백업의 실패는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보안 실패는 일부를 잃는 것이고 백업 실패는 전부를 잃는 것이므로,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으며 지금이라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 가성비적인 측면으로도 보안 강화는 중.소기업에서 매우 부담스럽고 대처하기 힘든 부분이며, 백업 강화는 선택이 아니라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 157년 링컨대학 폐교>
- 이원화 센타나 인터넷 웹상에 백업하려면 가장 큰 문제는 인터넷 속도와 점유시간 및 엄청난 비용 일 것이다.
- 비용과 시간 및 효율면에서 매우 불리한 인터넷 서버를 운영하기 보다는, 백업에 관심있는 회사에서는 온프레미스(자체 시스템 설정)를 운영하거나, 무방비로 개인 HDD에 작업 후 제출 시 취합하는 방식을 취할 것이다.
-
개인 HDD에 작업 후 데이타를 취합하면 중복과 손실을 피할 수 없고, 보고용 및 최종 파일 관리가 어려워지며 안전에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 최소한 자체 데이타 서버(운영(원본), 백업) 자료공유를 권하며, 이를 백업한다면 관리가 매우 용이할 것이다.
-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크 사용하면서 백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백업시간과 데이타 복사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장 큰 관건이라 할 수 있다.
4. 스마트 이중백업 디ð딤
- 스마트 이중백업이란 미러의 단순한 원본 동기화가 아닌 백업 대상 파일을 별도로 형성하고, 변경된 파일만을 매시간 동시에 이중백업으로 점유시간을 최소화하며, 파일 및 폴더 명 변경은 백업 시 동일 적용되어 저장공간을 스마트하게 관리함.
- 물리적 재난(화재 지진 등)에서 이원화 처럼 자유롭지는 않지만, 저렴하게 이중화와 별도PC 동시 백업(백업2 PC)으로 일부 해소하고, 미로(Mirro) 복사의 실시간 원본 동기화의 취약점(랜섬 바이러스 등)을 보완한 매시간 스마트 이중백업 방식을 도입하였다.
- 과거로의 복귀도 가능하고 중간작업 자료 활용에 매우 유리한 방식을 추구하며, 기존PC 활용으로 구성비가 매우 저렴 한 온프레미스(자체 시스템 설정)를 구현가능함
- 자세한 사항은 견본파일을 설치·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 우측로그 이미지 클릭 >
-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바랍니다.
- 시간여유가 있으면 네트워크 신세계를 방문해 보세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19 |
16 |
기존 - PC를 구매할때 우선순위
![]() | 시냇물 | 2023.03.07 | 119 |
15 |
밴드에서 견본파일 다운받아 실행
![]() | 시냇물 | 2023.02.21 | 129 |
14 | ChatGPT 가입 및 질문 [1] | 시냇물 | 2023.02.20 | 408 |
13 |
가성비 CPU와 감성 그래픽카드(RTX 3060이상) 비교
![]() | 시냇물 | 2023.01.31 | 155 |
12 |
파일서버(디ð딤 자작Nas) vs NAS 비교
![]() | 시냇물 | 2023.01.14 | 291 |
11 |
폰으로 서버 끄기(긴급상황대처)
![]() | 시냇물 | 2022.12.06 | 174 |
10 |
원격데스크톱 활용 및 필요성(1인•중소기업 필수)
![]() | 시냇물 | 2022.11.21 | 569 |
9 |
파워 전원이 공급되면 컴퓨터 자동부팅(Wol 대체)
![]() | 시냇물 | 2022.11.20 | 294 |
» |
백업의 중요성, 재해복구(DR)
![]() | 시냇물 | 2022.11.02 | 313 |
7 | PC 실 사용 속도 | 시냇물 | 2022.08.08 | 107 |
6 |
업무공백(병가 등) 대처(원격제어)
![]() | 시냇물 | 2022.04.03 | 151 |
5 |
자유로운 근무환경 만들기
![]() | 시냇물 | 2022.03.17 | 139 |
4 |
사무실 PC를 집 PC로 제어(개인비서)
![]() | 시냇물 | 2022.02.28 | 294 |
3 |
회사 PC연결 지원 및 운영
![]() | 시냇물 | 2022.01.16 | 90 |
2 |
신세계 방문(반영구 원격, 네트워크, 공유PC(간이서버), 스마트이중백업)
[3] ![]() | 시냇물 | 2021.12.24 | 711 |
1 |
네트워크 개선 필요성
![]() | 시냇물 | 2022.01.04 | 3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