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가성비 CPU와 감성 그래픽카드(RTX 3060이상) 비교
2023.01.31 12:08
VS
CPU vs 그래픽카드, 무엇이 더 중요할까?
1. 개요

-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장치로 연산과 제어를 담당하는 핵심 부품.
- 그래픽 카드: 화면전환을 담당하며 3D 작업과 게임에서 중요
-
중고 그래픽카드는 일반 CPU 가격을 넘어, 고성능 PC의 척도로 인지. - 고성능 PC에서 그래픽카드가 필수라고 인식하지만, 실제로 PC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는 CPU와 RAM!
- 그래픽카드는 자동차의 외관과 같은 요소로, 사용자의 취향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음
2. 그래픽 프로그램 작업 형태 비교
2.1 속도와 성능

- 3D 게임·랜더링 → 그래픽카드 중요 (빠른 화면 전환 필요)
- 포토샵·일러스트·스케치 등 정적 그래픽 작업 → CPU와 RAM 중요
-
램은 듀얼(2개)을 권장, DDR4를 오버(XMP)하면 기대이상 효과를 볼 수 있음 - DDR5 + 인텔 UHD 770 또는 Xe LPG은 128bit 동작으로 대여폭이 넓어 AMD Apu와 견줄 수있음.
-
APU(=내장 그래픽이 있는 CPU, 인텔 논F, Amd G가 붙음)
- 전체 속도는 가장 느린 장비가 좌우, 다음으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장비
2.2 PC 처리속도 단순계산(시간, 동시작업 미고려, 8bit = 1Byte, 1gb/s = 125MB/s)
- Cpu(C), Ram(R), Main board(M), Video(V), 기타(E)의 속도를 표시.
평균속도 = (C * T1 + R * T2 + M * T3 + V * T4 + E * T5) / (T1+T2+T3+T4+T5)
- 큰 시간 할당(주 공정) 속도가 전체 속도 좌우, 램속도(30GB/s, 1B=8byte) 100으로 정의하고 5가지 시간합(∑ T = 100) 가정하고 C=120, T1=40, R=100, T2=20, M=100, T3=20, V=150, T4=5, E=30, T5=15 가정하고 가장 느린 속도를 추가하면
(120*40+100*20+100*20+150*5+30*15+C6*T6) / (100+T6) = 100(30GB/s, 램속도) ⇊ 에서 급격히 저하
-
주 작업과 시간 소요 및 가장 느린 장비가 전체 속도를 좌우, 즉 기타 장치의 소요 시간이 커지면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짐(usb2.0에 데이타 저장: 15MB/s(C6=0.015의 T6=200시간 추가)) - 일반 작업에서 화면 전환만을 병행으로 담당하는 그래픽카드는 작업시간 영향이 적음
2.3 PC 장비들의 역할
- CPU는 주 작업, 비디오카드는 부 작업인 화면전환(병행도 가능) 담당하므로 처리속도를 좌우하는 건 CPU
- 램은 주 작업을 보조하는 휘발성 메모리로 임시 기억장치, 보드는 각각의 장치를 연결.
- 입력장치(키보드, 마우스)와 파워, 저장장치는 주 작업 보다는 병행작업 또는 보조작업으로 볼 수 있음.
3. 보조장치(저장, 네트워크, 모니터) 속도 개선
- 저장 및 네트워크(인터넷) 등 느린 보조 장치도 주 작업 속도를 지연.
- 보조장비 가성비 맞춤(1g → 2.5gb/s(가성비))으로 최저 속도 UP.
-
작업효율을 극대화 하려면 모니터 투자 권유
2대 : 출력하지 않고 자료비교 또는 입•출력 편리
3대 : 자료 및 일정 관리가 편리해지며, 멀티 작업 가능
4대 : 2개 이상의 멀티 작업에 유리(여분의 그래픽 카드 필요)
5대 : 멀티 작업과 프로젝트 진행 상황 모니터닝(CCTV 등) 가능
4. 성능 개선을 위한 우선 투자대상 장비
- 그래픽 카드가 주 작업인 작업(3D게임)을 진행(시간할당 많음)하면, 그래픽 카드가 속도가 매우 중요하지만, 일반적인 작업은 PC 전체의 속도를 좌우하는 건 CPU라 할 수 있음.
- 비디오 편집과 랜더링 및 3D게임 등 동적 화면전환은 고가의 비디오 카드가 필요하지만, 정적 화면전환 작업은 그래픽카드 보다 전체 작업속도를 좌우하는 CPU에 투자(한단계 UP) 하는 것이 매우 유리.
-
기존 인텔 6세대 내장그래픽(HD 530)도 트리플(3대) 모니터를 지원, 14세대(UHD 770)는 6세대보다 3.5배 강화되고, 15세대는 2배 강화되었고, AMD 8700g은 15세대 보다 강화되어 3D게임도 가능. - 사무용 PC(비디오 편집외)는 그래픽 카드의 필요성 보다 CPU 강화가 매우 유리하며, 그래픽 비용을 줄여 CPU와 램에 투자하면 더 고성능의 PC를 접할 수 있음
참고 : 착한 가성비 PC : https://band.us/band/89296123/post/28
고성능 가성비 PC : https://band.us/band/89296123/post/29
-
일부 조립PC에서 CAD 등 그래픽 작업(스케치, 일러)을 하려면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다고 하는데 근거가 약하며, 마진이 좋은 부품을 끼워 판매하는 형태가 많음(특히 고가의 RTX 3060 이상은 전문 게이머가 아닌 분은 사치) - CPU 오버 후 수냉, 그래픽 카드 UP, 전력 보강은 전문 사용자가 아닌 이상 사치 비추(고가의 튜닝으로 갬성)
5.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바랍니다.
- 시간여유가 있으면 네트워크 신세계를 방문해 보세요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4819 |
16 |
기존 - PC를 구매할때 우선순위
![]() | 시냇물 | 2023.03.07 | 119 |
15 |
밴드에서 견본파일 다운받아 실행
![]() | 시냇물 | 2023.02.21 | 129 |
14 | ChatGPT 가입 및 질문 [1] | 시냇물 | 2023.02.20 | 408 |
» |
가성비 CPU와 감성 그래픽카드(RTX 3060이상) 비교
![]() | 시냇물 | 2023.01.31 | 155 |
12 |
파일서버(디ð딤 자작Nas) vs NAS 비교
![]() | 시냇물 | 2023.01.14 | 291 |
11 |
폰으로 서버 끄기(긴급상황대처)
![]() | 시냇물 | 2022.12.06 | 174 |
10 |
원격데스크톱 활용 및 필요성(1인•중소기업 필수)
![]() | 시냇물 | 2022.11.21 | 569 |
9 |
파워 전원이 공급되면 컴퓨터 자동부팅(Wol 대체)
![]() | 시냇물 | 2022.11.20 | 294 |
8 |
백업의 중요성, 재해복구(DR)
![]() | 시냇물 | 2022.11.02 | 313 |
7 | PC 실 사용 속도 | 시냇물 | 2022.08.08 | 107 |
6 |
업무공백(병가 등) 대처(원격제어)
![]() | 시냇물 | 2022.04.03 | 151 |
5 |
자유로운 근무환경 만들기
![]() | 시냇물 | 2022.03.17 | 139 |
4 |
사무실 PC를 집 PC로 제어(개인비서)
![]() | 시냇물 | 2022.02.28 | 294 |
3 |
회사 PC연결 지원 및 운영
![]() | 시냇물 | 2022.01.16 | 90 |
2 |
신세계 방문(반영구 원격, 네트워크, 공유PC(간이서버), 스마트이중백업)
[3] ![]() | 시냇물 | 2021.12.24 | 711 |
1 |
네트워크 개선 필요성
![]() | 시냇물 | 2022.01.04 | 3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