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서버(파일, 작업) 구축 및 비교
2021.07.09 18:16
 
동일 작업의 가장 효율적인 운영은 1개의 원본과 스마트이중백업(파일서버)으로 주소공유(국가는 이원화 백업)
-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작업려면 자료를 복사하는 것보다, 파일서버로 관리•공유하여 동일자료를 수정•보완하면, 작업의 효율성을 높아지고 잔여데이타 형성을 줄일 수 있음
 
1. 네트워크 구축
1.1 PC 활용
- 윈도우 활용으로 프로그램 접근이 편함
 - 서버용 OS가 아니면 접속인원 제한이 있음(win10 pro 10명)
 - 
	
업그레이드가 편하고 호환이 좋음(최대구성 : 랜 10g, 하드 M2 pcie4, 실속도 400MB/s) - 가성비 좋은 2.5GB/s 추천(실속도 270MB/s, 10Gb/s 구성 비용의 20%)
 - 
	
사용 PC의 SSD하드(실속도 200MB/s) 및 pcie 3 M2(실속도 1GB/s)의 자료전송은 HDD(실속도 110MB/s) 보다 빠르지만, 요즘 지원하는 Pcie4 M.2의 1/50(2%) 속도이며, 최근 Pcie5는 2배 더 빠름 
1.2 NAS 등 활용
- 고가의 장비 및 관리 프로그램 숙지가 필요(프로그램 미지원시 추가구매)
 - 접속인원 구성은 편리하나, HDD 속도(110MB/s) 및 네트워크 속도(1gb/s=120MB/s)이상 전송 어려움
 - 구매 장비의 성능 업그레이드가 제한적임(업그레이드 시 매우고가 또는 재구매 필요)
 
2. 백 업(Back Up)
- Windows 지원(윈도우 백업, 파일히스토리)을 활용하여 제한적이나마 활용가능
 - NAS의 네트워크 휴지통은 백업이 아니고, HDD 이미지 백업 형태로 저장용량 관리(횟수만큼 원본용량 필요)가 매우 어려움
 - 
	
백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DiðDim을 배포(개인무료) - 랜섬 등 바이러스에 조금 이나마 안전하려면 별도 관리 프로그램과 파일서버 필요
 
3. 통신속도(랜) 개선
- 파일서버에서는 IIS의 webdave나 FTP를 활용하여 외부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지원이 가능
 - NAS 프로그램에서 바로 외부 접속이 가능함.
 - 아래 그림은 NAS 전송(1Gb/s 랜과 하드)과 파일서버(2.5Gb/s 랜과 M.2)의 내부네트워크 자료전송속도
 
4. 결 론  
- 고가의 비용을 들여 NAS를 구측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지만, 10gb/s(랜)로 전송하고 M2 pcie4의 속도를 지원하는 Nas제품은 구하기 어려워 , 대부분 1gb/s에 Nas 하드 장착
 - NAS는 공유 및 기존자료 접근 측면에서 유리하나, 파일서버로는 한계가 있음
 - 
	
시중에서 구매하는 NAS의 작업속도는 개인이 일반하드에서 작업속도(실속도 140MB/s)보다 느리고, SSD나 M.2로의 업그레이드도 매우 불편하므로 업그레이드와 관리프로그램을 겸하면서 가성비 좋은 속도를 낼 수 있는 파일서버 추천 - 효율적은 시스템구성을 위해 작업서버를 구성하여 다중접속 하면, 여려사람이 사내 최고사양 PC를 누구나 사용한다면, 개개인의 PC업 보다는 좀 더 효율적이며, 인터넷을 단절해 시험용 프로그램도 자유롭게(외부에선 내부PC를 경유해서 작업서버 접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내 PC가 단말기 역할로 전락되는 수모를 격을 수 있겠지만, 자원집중으로 누구나 고성능 PC를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 추가로 공용서버를 구성하여 다중접속하면 정품 프로그램 구매비용을 저감( ~ 수천만원/년)할 수 있음
 - 
	
사내 작업속도 개선하려면 네트워크와 공용폴더 저장장치가 최우선 
5.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바랍니다.

- 시간여유가 있으면 네트워크 신세계를 방문해 보세요
 - PC의 "파일 탐색기(Win+E) 주소창"에 아래주소 입력 또는 붙여넣기(클릭은 미리보기 됨)
	
- http://didim.kro.kr:18282/didim/디딤 워라밸.xlsx 를 입력 또는 다운실행 후 gu(est)로 로그인
 - 신세계(반영구 원격, 갓성비 내부망, 고성능 간이서버 다중공유,  스마트이중백업) 열림
 
 
댓글 0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정보 공유 | 시냇물 | 2009.12.09 | 45610 | 
| 12 | 
					다중 및 이중접속 제어
															 | 																																																								시냇물 | 2022.12.20 | 510 | 
| 11 | 
					Webdav 연결(컴 & 폰)
															 | 																																																								시냇물 | 2022.03.10 | 1137 | 
| 10 | 
					폰으로 사무실 인터넷공유기 외부ip주소 변경 및 wol(원격부팅) 작동
															 | 																																																								시냇물 | 2022.03.10 | 580 | 
| 9 | 폰에 크롬 원격 데스크톱 설치 및 접속 [1] | 시냇물 | 2022.03.03 | 254 | 
| 8 | 
					폰에 Remote Desktop(RDP) 설치
															 | 																																																								시냇물 | 2022.03.03 | 279 | 
| 7 | 
					원격데스크탑 편리한 연결
															 | 																																																								시냇물 | 2022.01.11 | 161 | 
| 6 | 
					PC크롬 단순원격 지원 및 반영구 원격
					[1]										 | 																																																								시냇물 | 2021.12.29 | 829 | 
| 5 | 
					스위치 허브교체
															 | 																																																								시냇물 | 2021.12.14 | 250 | 
| 4 | 그래픽 카드 동시(내장, 외장)사용 | 시냇물 | 2021.09.26 | 1222 | 
| 3 | 
					cpu-z 활용(컴제원 확인)
															 | 																																																								시냇물 | 2021.09.23 | 253 | 
| 2 | 
					메인보드 회사, Lan 카드 별 wol설정
															 | 																																																								시냇물 | 2020.03.27 | 2476 | 
| 1 | 크롬 원격제어 코드로 연결 [3] | 시냇물 | 2016.02.05 | 184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