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작업려면 자료를 복사하는 것보다, 파일서버로 관리•공유하여 동일자료를 수정•보완하면, 작업의 효율성을 높아지고 잔여데이타 형성을 줄일 수 있음

 

1. 네트워크 구축

   1.1 PC 활용

  • 윈도우 활용으로 프로그램 접근이 편함
  • 서버용 OS가 아니면 접속인원 제한이 있음(win10 pro 10명)

  • 업그레이드가 편하고 호환이 좋음(최대구성 : 랜 10g, 하드 M2 pcie4, 실속도 400MB/s)
  • 가성비 좋은 2.5GB/s 추천(실속도 270MB/s, 10Gb/s 구성 비용의 20%)

  • 사용 PC의 SSD하드(실속도 200MB/s) 및 pcie 3 M2(실속도 1GB/s)의 자료전송은 HDD(실속도 110MB/s) 보다 빠르지만, 요즘 지원하는 Pcie4 M.2의 1/50(2%) 속도이며, 최근 Pcie5는 2배 더 빠름

 1.2 NAS 등 활용

  • 고가의 장비 및 관리 프로그램 숙지가 필요(프로그램 미지원시 추가구매)
  • 접속인원 구성은 편리하나, HDD 속도(110MB/s) 및 네트워크 속도(1gb/s=120MB/s)이상 전송 어려움
  • 구매 장비의 성능 업그레이드가 제한적임(업그레이드 시 매우고가 또는 재구매 필요)

 

2. 백 업(Back Up)

  • Windows 지원(윈도우 백업, 파일히스토리)을 활용하여 제한적이나마 활용가능
  • NAS의 네트워크 휴지통은 백업이 아니고, HDD 이미지 백업 형태로 저장용량 관리(횟수만큼 원본용량 필요)가 매우 어려움

  • 백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DiðDim을 배포(개인무료)
  • 랜섬 등 바이러스에 조금 이나마 안전하려면 별도 관리 프로그램과 파일서버 필요

 

3. 통신속도(랜) 개선

  • 파일서버에서는 IIS의 webdave나 FTP를 활용하여 외부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지원이 가능
  • NAS 프로그램에서 바로 외부 접속이 가능함.
  • 아래 그림은 NAS 전송(1Gb/s 랜과 하드)과 파일서버(2.5Gb/s 랜과 M.2)의 내부네트워크 자료전송속도

 

4. 결 론

 

카톡으로 문의(촬영후 연결).png    클릭 또는 촬영

 

  • 고가의 비용을 들여 NAS를 구측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지만, 10gb/s(랜)로 전송하고 M2 pcie4의 속도를 지원하는 Nas제품은 구하기 어려워 , 대부분 1gb/s에 Nas 하드 장착
  • NAS는 공유 및 기존자료 접근 측면에서 유리하나, 파일서버로는 한계가 있음

  • 시중에서 구매하는 NAS의 작업속도는 개인이 일반하드에서 작업속도(실속도 140MB/s)보다 느리고, SSD나 M.2로의 업그레이드도 매우 불편하므로 업그레이드와 관리프로그램을 겸하면서 가성비 좋은 속도를 낼 수 있는 파일서버 추천
  • 효율적은 시스템구성을 위해 작업서버를 구성하여 다중접속 하면, 여려사람이 사내 최고사양 PC를 누구나 사용한다면, 개개인의 PC업 보다는 좀 더 효율적이며, 인터넷을 단절해 시험용 프로그램도 자유롭게(외부에선 내부PC를 경유해서 작업서버 접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내 PC가 단말기 역할로 전락되는 수모를 격을 수 있겠지만, 자원집중으로 누구나 고성능 PC를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 추가로 공용서버를 구성하여 다중접속하면 정품 프로그램 구매비용을 저감( ~ 수천만원/년)할 수 있음

  • 사내 작업속도 개선하려면 네트워크와 공용폴더 저장장치가 최우선

     
  • 문의사항은 아래로 연락바랍니다.
접속자 현황
오늘:
383
어제:
435
전체:
1,211,278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