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 목 |
소나무, 곰솔, 자귀나무, 굴거리나무, 무환자나무 등 |
관 목 |
조팝나무, 족제비나무, 조릿대, 철쭉, 식나무 등 |
만 경 목 |
등, 칡, 노박덩굴, 으름덩굴, 담쟁이 덩굴 등 |
|
|
상록침엽수 |
주목, 비자나무, 잣나무, 섬잣나무, 백송, 곰솔, 소나무, 반송, 독일가문비, 솔송나무, 젓나무, 구상나무, 삼나무, 금송, 화 백, 향나무, 연필향나무, 가이즈까향나무, 히말라야시다, 옥향, 눈주목, 눈향나무 등 |
상록낙엽수 |
녹나무, 월계수, 굴거리나무, 감탕나무, 먼나무, 후피향나무, 동백나무, 빗죽이나무, 태산목, 소귀나무, 목서, 종가시나무, 붉가시나무, 가시나무, 돈나무, 회양목, 꽝꽝나무, 사철나무, 사스레피나무, 서향, 식나무, 광나무, 왕쥐똥나무, 치자나무, 다정큼나무, 피라칸사스, 팔손이 등 |
낙엽침엽수 |
은행나무, 낙엽송, 메타세콰이아 등 |
낙엽활엽수 |
은백향나무, 황철나무, 용버들, 중국굴피나무, 호도나무, 자작나무, 팽나무, 목련, 자목련, 일본목련, 백목련, 백합(튤립)나무,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 산사나무, 아그배나무, 팥배나무, 왕벚나무, 수양벚나무, 주엽나무, 회화나무, 가중나무, 단풍나무, 네군도단풍, 당단풍, 복자기, 홍단풍, 칠엽수, 피나무, 벽오동, 위성류, 배롱나무, 산수유, 오동나무, 계수나무, 말채나무, 천선과나무, 무화과나무, 생강나무, 고광나무, 수국, 명자꽃, 병아리꽃나무, 해당화, 앵도나무, 박태기나무, 골담초, 싸리, 탱자나무, 철쭉나무, 개나리, 수수꽃다리, 작살나무, 분꽃나무, 백당나무, 댕강나무, 붉은병꽃나무, 망종화 등 |
만경목 |
으름덩굴, 멀꿀, 등 나 무, 등수국, 남오미자 등 |
기타목 |
소철 등 |
|
|
침엽수류 |
낙우송, 삼나무, 메타세콰이아, 은행나무, 리기다소나무 등 |
낙엽수류 |
수양버들, 오리나무, 굴피나무, 물푸레나무, 칠엽수, 일본목련, 미류(미루)나무, 산벚나무, 왕벚나무, 은백향, 왕버들, 용버들, 백합(튤립)나무, 참느릅나무, 담팔수, 가래나무, 귀룽나무, 느티나무, 중국굴피나무, 함박꽃나무, 오갈피나무 등 |
관 목 류 |
홍철쭉, 황철쭉, 죽도화, 병꽃나무, 딱총나무, 꽃아그배나무, 말발도리, 불두화, 무궁화, 버드나무류 등 |
상록활엽수류 |
태산목, 아왜나무, 식나무, 동백나무, 먼나무, 팔손이나무, 광나무, 붓순나무, 후피향나무 등 |
|
|
서 울 |
양버즘나무류, 가중나무, 왕벚나무, 겹벚나무, 은행나무, 은수원사시나무 등 |
지 방 |
양버즘나무류, 수양버들, 히말라야시다, 은수원사시나무, 은행나무, 왕벚나무, 은단풍, 배롱나무, 동백나무, 메타쉐콰이아, 백합(튤립)나무 등 |
야생동물 유인수종 |
작살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 매자나무,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마가목, 노간주나무, 화살나무, 붉나무, 신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등 |
|
|
경계식 식물 |
사철나무, 개나리, 무궁화, 쥐똥나무, 호랑가시나무 등의 관목 | |
분리대용 |
느티나무, 백합(튤립)나무, 회화나무, 칠엽수, 팽나무, 은행나무, 태산목, 느릅나무,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 중국단풍, 후박나무, 왕벚나무 등 | |
녹화용 |
상록교목 |
젓나무, 독일가문비, 반송 등 |
상록관목 |
회양목, 사철나무, 눈향나무 등 | |
낙엽교목 |
은행나무, 산벚나무 등(상록수와의 혼식→단순화 배제) |
|
|
호수경계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콩과식물 |
족제비싸리, 조록싸리, 참싸리, 칡 등 | |
하천변 녹화용 수종 |
교목 |
목백합, 버즘나무, 왕버들, 후박나무, 낙우송, 수양벚나무, 수양버들, 오리나무 등 |
관목 |
사철나무, 협죽도, 개나리, 무궁화 등 |
|
|
상록침엽교목 |
비자나무, 젓나무, 구상나무,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섬잣나무, 독일가문비, 금송, 편백, 화 백, 서리화백, 나한백 등 |
상록침엽관목 |
개비자나무, 눈주목 등 |
상록낙엽교목 |
아왜나무, 굴거리나무, 담팔수 등 |
상록낙엽관목 |
꽝꽝나무, 사철나무, 금테사철, 은테사철, 사스레피나무, 서향, 팔손이, 식나무, 자금우, 백량금, 산호수 등 |
상록활엽교목 |
은백향, 느티나무, 이팝나무, 물푸레나무, 붉나무, 팥배나무, 당단풍, 복자기, 산딸나무 등 |
상록활엽관목 |
갯버들, 능수조팝나무, 단풍철쭉, 영산홍, 족제비싸리, 수국, 나무수국, 말발도리나무, 삼지닥나무 등 |
특수수목 |
담쟁이덩굴, 마삭줄, 모람, 송악, 오미자, 으름덩굴, 칡, 조릿대 등 |
|
|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 |
비자나무, 편백, 화 백, 가이즈카향나무, 은행나무, 가시나무, 굴거리나무, 녹나무, 감탕나무, 아왜나무, 꽝꽝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쥐똥나무, 물푸레나무, 미류(미루)나무, 수양버들, 회화나무,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 등 |
아황산가스에 약한 수종 |
독일가무비, 소나무, 대왕송,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삼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매실나무, 왕벚나무, 벚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 홍단풍, 히말라야시다, 젓나무, 다릅나무, 산벚나무 등 |
배기가스에 강한 수종 |
비자나무, 편백, 가이즈카향나무, 은행나무, 화 백, 히말라야시다, 측백나무, 녹나무, 태산목, 아왜나무, 식나무, 감탕나무, 꽝꽝나무, 돈나무, 호랑가시나무, 서향, 버드나무,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 개나리, 쥐똥나무, 무궁화, 겹벚나무, 층층나무 등 |
배기가스에 약한 수종 |
삼나무, 소나무, 젓나무, 금목서, 은목서,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왕벚나무, 목련, 백합(튤립)나무, 팽나무, 감나무, 매실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무화과나무, 자목련, 자귀나무, 고광나무, 명자꽃, 산수국, 화살나무 등 |
|
|
교 목 |
동백나무, 나한송, 종가시나무, 졸가시나무, 감탕나무, 꽝꽝나무, 연필향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백정화, 피라칸사스, 단풍나무, 월계수, 서양측백, 개잎갈나무, 향나무 등 |
관 목 |
아왜나무, 사철나무, 회양목, 호랑가시나무, 화살나무, 조릿대, 둥근측백, 눈향나무, 식나무, 작살나무, 박태기나무, 해당화, 남천, 목서, 등 |
만 경 목 |
송악,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으름덩굴, 줄사철나무, 칡, 으아리 등 |
양지바른곳에 적합한 |
향나무, 가이즈까향나무, 가시나무류, 탱자나무, 화 백, 편백, 삼나무, 측백나무, 꽝꽝나무, 덩굴장미, 명자꽃, 무궁화, 개나리, 피라칸사, 회양목, 보리수나무, 사철나무, 아왜나무 등 |
일조부족이 되는곳에 |
주목, 눈주목, 식나무, 붉가시나무, 광나무, 비자나무, 동백나무, 솔송나무, 광나무, 감탕나무, 회양목 등 |
대표수종 |
주목, 노간주나무, 측백나무, 서양측백, 편백, 비술나무, 매발톱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 산사나무, 명자꽃, 족제비싸리, 탱자나무, 꽝꽝나무, 호랑가시나무, 회양목, 화살나무, 무궁화, 쥐똥나무, 왕쥐똥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방크스소나무, 향나무, 연필향나무, 콩배나무, 생열귀나무, 참싸리, 때죽나무 등 |
|
|
차폐식재용 수종 |
가시나무류, 메밀잣밤나무, 후피향나무, 목서, 감탕나무, 사철나무, 아왜나무, 녹나무, 비자나무, 소나무, 주목, 화 백, 편백, 측백, 삼나무, 광나무, 미류(미루)나무, 동백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포플러, 양버즘나무, 팽나무, 팔손이나무, 식나무, 협죽도, 다정큼나무, 대나무류 등 |
차광 및 녹음수용 수종 |
느티나무, 팽나무, 은행나무, 벽오동, 자귀나무, 회화나무, 칠엽수, 튤립나무, 일본목련, 계수나무, 멀구슬나무, 피나무, 물푸레나무, 가중나무, 느릅나무, 이나무, 모감주나무, 참중나무 등 |
경계녹지 조성용 수종 |
곰솔, 느티나무, 아카시아나무, 포플러, 튤립나무, 양버즘나무, 중국단풍, 칠엽수, 벽오동, 회화나무, 물푸레나무, 벚나무, 수양버들, 은행나무, 팽나무, 목련, 가중나무 등 |
방음녹지용 수종 |
좀감탕나무, 삐쭈기나무, 태산목, 감탕나무, 후피향나무, 소귀나무, 털가시나무, 늦동백, 측백나무, 참가시, 은목서, 남천, 마취목, 꽝꽝나무, 차나무, 돈나무, 섬쥐똥나무, 팔손이나무 등 |
완충녹지대용 수종 |
곰솔, 편백, 느티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층층나무, 화 백, 회화나무, 이태리포플러, 미류(미루)나무, 사시나무, 은백양,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류, 아왜나무, 광나무, 사철나무, 영산홍, 쥐똥나무, 노린재나무, 덜꿩나무, 피라칸사스 등 |
|
|
주요 지피류 |
조릿대, 이대, 사철나무, 금테사철, 은테사철, 인동덩굴, 으름덩굴, 담쟁이덩굴 등 | |
육교 및 고가도로 |
관 목 |
사철나무, 광나무, 개나리, 식나무, 협죽도, 돈나무, 목서, 눈향나무, 다정큼나무 등 |
지피류 |
담쟁이덩굴, 털마삭줄, 마삭줄, 아이비 등 |
|
|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 |
단풍나무류, 복자기, 마가목, 느티나무, 은행나무등 |
과일이 열리는 나무 |
매화나무, 모과나무, 살구나무, 자두나무, 감나무등 |
꽃이 아름다운 나무 |
벚나무류, 때죽나무, 이팝나무, 영산홍, 자산홍, 살구나무, 산수유 , 무궁화, 목련, 매화나무 |
그늘이 좋은 나무 |
목련, 벚나무류, 느티나무, 회화나무, 은행나무, 계수나무, 칠엽수, 팽나무등 |
늘푸른나무 |
소나무, 젓나무, 주목, 향나무, 잣나무등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정보공유 | 시냇물 | 2011.03.13 | 25239 |
14 | 법의 단계 | 시냇물 | 2011.05.27 | 6652 |
13 |
석축과 반월관
![]() | 시냇물 | 2011.05.17 | 8509 |
12 |
도시내 우수받이
![]() | 시냇물 | 2011.05.17 | 6755 |
11 |
자동차제원(최저지상고)
[1] ![]() | 시냇물 | 2011.04.29 | 16372 |
10 |
주차장 돌포장(서천 동백정)
![]() | 시냇물 | 2011.04.12 | 7456 |
9 |
연약지반 개량공법
![]() | 시냇물 | 2011.03.10 | 6392 |
8 |
암석의 분류
![]() | 시냇물 | 2011.01.18 | 5753 |
7 | 토압의 종류 | 시냇물 | 2010.12.30 | 7510 |
6 |
농지전용 설계비산출
![]() | 시냇물 | 2010.11.22 | 5737 |
5 |
홍수예보 시설망도
![]() | 시냇물 | 2010.11.22 | 6300 |
4 |
소화전 설치
![]() | 시냇물 | 2010.09.29 | 6056 |
3 |
관리용역
![]() | 시냇물 | 2010.08.03 | 5092 |
» | 수종분류 | 시냇물 | 2010.07.12 | 7201 |
1 | 설계변경(수량, 도면, 내역) 작성기준 | 시냇물 | 2010.04.12 | 6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