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타 토량환산계수

2010.07.22 01:49

내동깜찍이 조회 수:15864 추천:1

토량환산계수에 대해서 물론 잘 알고계시겠지만..

 실제 수량과 연계되서 단가산출서에 사용되는 F값에 대해서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아주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실제 국토해양부의 단가산출서 내용에서 사용하는 F값과 기타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F값이 다른경우가 많습니다..

 먼저..국토해양부의  F값적용 예를 살펴보면

 

         국토해양부                                                    지자체

          흙깍기 : F=1/L                                          흙깍기 : F=1/L

          적    사 : F=1/L                                          적    사 : F=1/L

          흙운반 : F=1/L                                          흙운반 : F=1/L

          순성토(사토) : F=1/L                               순성토(사토) : F=1/L

          노체쌓기(포설) : F=C/L                          노체쌓기(포설) F=1.0

          노체쌓기(다짐) : F=1.0                           노체쌓기(다짐) F=1.0

          녹지대(비다짐) : F=1/1.3                       녹지대(비다짐) F=1/1.3

          되메우기및다짐(백호) : F=C/L             되메우기및다짐(백호) : F=1.0

          되메우기및다짐(램머) : F=1.0             되메우기및다짐(램머) : F=1.0

          되메우기(비다짐) F=1/L                      되메우기(비다짐) : F=1.0

 

    보시다시피 똑같은 값이 적용되어 있는게 있고 틀린 F값이 적용되어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그 차이가 무얼까요??

     그럼 처음부터..가장 기본적인 사항부터 살펴보면..

     수량산출시 내역서상 올라오는 수량의 상태가 가장 기본입니다.

     흙깎기,흙운반,순성토(사토)운반,녹지대(비다짐)등은 자연상태의 수량이 올라와야 합니다.

   그외에 흙쌓기 및 되메우기및다짐등은 다짐상태의 수량이 올라와야 하구요..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여기서 내역서에 올라오는 수량의 상태를 자연상태=1 , 다짐상태=C , 흐트러진상태=L로 보면..

  그리고 또한가지 여기서 가장 중요한게.중기의 작업상태 입니다.

  일반적으로 덤프나,도쟈등 기본적인 중기의 작업상태를 흐트러진 상태로 보고.

  그리고 램머나 기타 다짐기구등은 중기의 작업상태를 다짐상태로 봅니다...

 

  자 그러면 기본적으로 단가산출서에서 규정되어 있는 F값의 의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공식이 성립됩니다..

 =============================================================================================

 

   내역서수량 ( 자연상태)

    1 = L (중기의 작업상태입니다) x F

        여기서 흙깎기나 흙운반등 자연상태의 내역수량에 맞추기 위해서는 덤프나 도쟈등..중기의 흐트러진 작업상태

       를 보정해주어야 하는데....이때 필요한게 토량환산계수이며 자연상태 1로 맞추기 위해서 F값은 1/L로 단가산출서

       내에 적용되어 있는 것입니다.

    또한

    내역서수량(다짐상태)

     C=C(중기의작업상태) x F

          예를들어서 노체쌓기를 살펴보면 노체쌓기에 투입되는 장비가 그레이더와 진동로라등 다짐장비 입니다.

         포설에 이용되는 모터그레이더는 위에서 설명드린것처럼 중기의 상태가 흐트러진 상태로 규정하며

         내역서 적용수량인 다짐상태를 맞추기 위해서는

 

        C=L x C/L  이처럼 F값이 C/L로 적용이 되어 있는 것이며

       노체쌓기 다짐에 투입되는 진동롤러등 다짐상태의 중기들은 다짐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C=C x 1 이처럼 F값이 1로 적용되어 있는 것입니다...

 =================================================================================================

 

 아주간단하지만 수량과 단가에 연용되서 사용되는 F값의 아주 중요한 의미입니다..

  자 그렇다면 위에서 말씀드린 국토해양부 단가의 F값과 일반 다른 지자체의 F값이 틀린 이유는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어떤 적용이 옳은지는 여러분들이 직접 판단하셔야 합니다.

 아니면 그냥 발주처 기준대로 따라가시는게....^^;;

 근데 여기서 또 중요한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지금부터는 제 주관적인 견해 입니다만...

 이런이야기들을 많이 하십니다..

 한단가 내에서...2개의 F값이 나오는게....잘못된 것이다!!!

 예를 들자면...내역서에 타는 수량이 다짐상태의 수량인데.....

 포설은 C/L , 다짐은 1.0으로 적용하는것은 옳지 못하다라는 이야기들이...인터넷상에서 많이들 검색되곤 했습니다..

 아마도 그런이유에서 위의 지자체 단가산출기준에서 F값을 포설과 다짐모두 공히 1.0으로 적용한 이유일겁니다.. 

 마지막으로  되메우기(비다짐)의 경우는 F값이 1/L로 적용되는것이 맞을것 같구요...

 

어떻게 이야기 하다 보니..글일 길어졌습니다..

 뭐~~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계신 내용이겠지만....

 아직 토량환산계수 F값의 적용에 대해서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게시다면.

 이글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늘 편안하고 건강한 하루 되시길,..바랍니다..

접속자 현황
오늘:
135
어제:
304
전체:
1,213,544

시 냇 물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